오늘은 ncloud에서 서버 인스턴스를 생성해보았다. 단순히 서버만 생성한 건 아니고, 서버가 돌아가게 될 vpc 생성 및 세팅도 함께 진행했다. aws 세팅법에 대해서는 간단히 배웠지만 ncloud는 또 느낌이 살짝 달라서 일부 헤멘 부분도 있었던 것 같다.
먼저 vpc란 virtual private cloud의 약자로,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자가 정의하고 관리할 수 있는 격리된 네트워크 영역을 말한다. 이를 통해 개인적인 가상 네트워크 사용할 수 있고, 보안 및 네트워크를 필요에 맞게 구성할 수 있다.
ncloud에서 이 vpc를 만드려면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쳐야 한다.
service -> networking -> vpc로 들어가기
vpc 생성
서브넷 생성
이제 우리가 개발한 서버 코드를 실행시킬 서버 인스턴스를 만들어줘야 한다. 여기서 만든 서버의 ip로 접속하게 되면 서버 코드의 실행 결과를 확인 할 수 있다.
ncloud에서 서버 인스턴스를 만드려면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쳐야 한다.
이렇게 서버까지 생성이 됐다면 마지막으로 서버 코드를 실행시킬 때 사용한 포트를 열어줘야 한다. Network ACL에서 내가 사용하는 ACL의 인바운드 규칙에 0.0.0.0/0에 대해 사용하고자 하는 포트를 허용해주면 된다.
이후에 서버의 공인 IP와 포트번호를 통해 접속하면 내가 서버에서 실행시키는 코드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