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꾸준히, 끄적끄적 해볼게요 :)

Typescript Duck Typing (덕타이핑)

타입스크립트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글을 읽다가 Duck Typing에 대해 알게되었다. 먼저 코드로 개념을 이해해보자. (위의 코드는 [Typesrcipt playground](https://www.typescriptlang.org/play?#code/JYOwLgpg

2021년 2월 28일
·
0개의 댓글
·

Redux 직접 만들어보기!

현재 우아한 테크 러닝 3기를 듣고 있다....!9월 한달 간 총 8번 진행되는 온라인 교육이다.(원래 오프라인이었는데 코로나의 영향으로 온라인 수업으로 바뀌었다고 한다.)(오프라인이었다면 총원이 30명이었다고.. 온라인으로 전환되서 신청된게 아닐까 싶다..ㅎㅎ)이번주

2020년 9월 6일
·
0개의 댓글
·

Process란?

컴퓨터 공학에서 말하는 Process란 무엇일까?간단하게나마 공부했던 내용을 정리해두려고한다.컴퓨터에서 연속적으로 실행되고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운영체제로부터 시스템 자원을 할당받는 작업의 단위 (ex, Code, Data, Stack, Heap의 구조로 되어 있는 독립

2020년 7월 25일
·
0개의 댓글
·

바닐라코딩 부트캠프 후기

바닐라코딩 부트캠프가 끝난 게 벌써 한달 반 전이다. 올해 1월부터 5월9일 Demo 데이까지... 약 4개월의 시간은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시간이겠지만 진짜 한여름의 밤의 꿈처럼... 후다다닥 지나간 것 같다. 그리고 누구보다 열정적으로, 그리고 자발적으로 그렇게

2020년 7월 1일
·
0개의 댓글
·

WebRTC 화상 연결 하기

바닐라코딩 부트캠프가 끝이 났다... 마지막 개인 프로젝트였던 2번째 프로젝트 peer는 누구나 쉽게 화상 상담을 연결할 수 있는 웹서비스이다. (홍보 아님...ㅋㅋㅋ) 2번째 프로젝트의 키워드(혹은 위기...)는 2가지이다. 1) 화상 연결 2) 음성 녹음 그 중

2020년 5월 19일
·
0개의 댓글
·

Expo/React Native 환경 변수 설정하기

첫번째 프로젝트가 무사히(?) 끝났다.(물론 추가하고 싶은 기능도 있고, 리팩토링도 더 해야한다고 생각한다..!)첫번째 프로젝트에서 가장 힘들었던 건 배포하는 과정이었다.나는 Expo를 이용하여 React Native 기반의 안드로이드 앱을 개발했다.구글 플레이 스토어

2020년 4월 19일
·
0개의 댓글
·

SQL vs NoSQL

SQL, NoSQL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자.SQL, NoSQL을 언급할 땐 각 단어 뒤에 DB를 붙여야겠다는 생각을 했다.SQL, NoSQL 비교하기 위해 자료를 구글링하면SQL은 관계형 DB, NoSQL은 그와 반대되는 비(Non) 관계형 DB 라는 식으로 설명을 한

2020년 3월 6일
·
0개의 댓글
·

SPA vs. MPA

SPA, MPA란 무엇일까? 차분히 정리해보자. 1. 정의 글자 그대로 단순(?)하게 해석하면, SPA(Single Page Application)는 한 개(single)의 Page로 구성된 application 이고, MPA(Multi Page application)

2020년 3월 1일
·
0개의 댓글
·

JSX In Depth

React 공식홈페이지에 'JSX In Depth'(https://ko.reactjs.org/docs/jsx-in-depth.html어찌보면 자잘(?)한 부분일 수 있지만,실제로 과제를 하면서 미리 알았으면 훨씬 도움이 될 법한 내용이었다.JSX는 React.

2020년 2월 22일
·
0개의 댓글
·

함수형 프로그래밍

함수형 프로그래밍이란 무엇을까? 정의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자료 처리를 수학적 함수의 계산으로 취급하고, 상태와 가변 데이터를 멀리하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의 하나이다. 문이 아닌 식이나 선언으로 수행되는 선언형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을 따르고 있다. 출처:위키백과 내가 이해한 바로는 순수 함수들을 조합하여 프로그래밍하는 방법으로, 명령형이 아닌 선언형 프로...

2020년 2월 9일
·
0개의 댓글
·

SOLID 원칙(w.OOP)

SOLID원칙에 대해 알아보자. 시작에 앞서.. SOLID원칙은 좋은 객체 지향 설계를 위한 5가지 원칙이라고 흔히 말한다. 그럼 좋은 객체 지향 설계는 왜 필요할까? OOP(Object-Oriented Programming, 객체지향 프로그래밍)를 공부하려고 구글링을 하면, OOP의 요소(캡슐화, 추상화, 상속, 다형성), SOLID 5원칙 등에 대...

2020년 1월 31일
·
1개의 댓글
·

for문과 Promise 함께 쓰기

바닐라코딩 부트캠프 3주차 과제는 sorting함수 중 몇 가지를 골라 시각화하는 것이었다. 이 과제를 수행하면서 어려웠던 것 중 하나가 "비동기함수를 내가 원하는 시간과 순서대로 실행" 하는 것이었다. for문을 활용하여 배열안에 담아둔 각각의 정보를 내가 구현한 함수에 전달해서 동기가 아닌 비동기적으로 실행해야 했다. 계속 실패를 하다가 우연히 st...

2020년 1월 28일
·
0개의 댓글
·

부동소수점 (0.1 + 0.1 === 0.2??)

얼마전 퀴즈로 나왔던 부분을 정리한다. 컴퓨터에서 라 입력하면 일까? 일까? 정답은 이다. (실제로 inspection에서 입력하면 true로 나온다.ㅎㅎ) 컴퓨터에서 숫자를 표현하는 방법은? 은 으로 숫자를 표현하지만, 는 으로 숫자를 표현한다. 즉, , 으로 모든 것을 받아 들인다. 왜냐하면 컴퓨터는 전기 신호로 모든 데이터를 처리한다. 전기 ...

2020년 1월 18일
·
1개의 댓글
·

Linked List vs Array (@GeeksforGeeks)

자료 구조를 공부하고 나서, Linked List와 Array가 서로 비슷하게 느껴졌다. GeeksforGeeks에 비교해 놓은 글이 있어서 번역해 둔다. (다시 읽으려면 힘드니까.....ㅎㅎㅎㅎㅎㅎ) 참고로 '기울기'로 표현한 부분은 추가로 공부하고 작성한 부분이다. 원글 : GeeksforGeeks - Linked List vs Array Arra...

2020년 1월 18일
·
0개의 댓글
·

Hash Table

Hash Table이란? 해시테이블 출처 : 위키백과 - 해시테이블 > 해시 테이블(hash table) 자료 구조 중 하나로, Key와 Value를 저장한다. Key, Hash Function, Hash, Value로 구성된다. 의 전화번호인 를 저장한다고 하자. 입력된 를 에 적용해서 라는 값을 얻는다. 그러면 는 미리 중 에 저장하게...

2020년 1월 17일
·
0개의 댓글
·

var, let, Const

변수를 선언할 때 var, let, const 키워드를 함께 사용한다. 차이점은 무엇일까? 1. Scope var (함수 레벨 스코프) vs let, const (블록 레벨 스코프) 잠시 변수 선언/할당의 단계를 알아보자. 변수가 선언되고 할당되는 단계

2020년 1월 16일
·
0개의 댓글
·

Event Loop (이벤트 루프)

이번 글은 Event Loop (이벤트 루프) 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한다. Event Loop? Event Loop 출처 How JavaScript works: an overview of the engine, the runtime, and the call stack Event Loop는 MDN 문서로 검색하면 "큐의 다음 메시지를 처리합니다" 라고 ...

2020년 1월 12일
·
5개의 댓글
·

Object.create()

2020년 1월, 바닐라코딩 7기 부트캠프를 다니고 있다. 앞으로 부트 캠프를 다니는 동안 배우는 것들을 조금씩, 그리고 꾸준히 끄적이려고 한다. 바닐라코딩 후기도 남겨야되는데.... 차근차근해야지 흐흐 Object.create() 정의 > 지정된 프로토타입 객체 및 속성(property)을 갖는 새 객체를 만듭니다. 매개변수 > 1. proto 새...

2020년 1월 11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