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쿼리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의 복구 모델을 조회한다.주요 복구 모델에는 세가지가 있다.SIMPLE: 트랜잭션 로그를 자동으로 회수하여 로그 공간을 최소화합니다. 포인트-인-타임 복구는 지원되지 않는다.FULL: 모든 트랜잭션 로그를 유지한다. 포인트-인-타임 복구
회사에서 mssql 쿼리를 보다가 with(nolock) 구문을 보게 되었다. 뭔지 보니까 mssql에서 사용되는 힌트라고 한다. 얘는 보통 select를 할 때, 다른 트랜잭션에 대한 lock을 피하기 위해 사용된다고 한다.일반적으로 sql server에서는 한 트랜
컬럼 추가하기컬럼 수정하기
네, 데이터베이스에서 쿼리 실행 시간이 예상보다 길어지는 데에는 락(lock)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 락은 동시성 제어를 위해 사용되며, 여러 프로세스나 사용자가 동일한 데이터에 동시에 액세스하려고 할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락으로 인한 문제는 특히 다음
ON DUPLICATE KEY UPDATE는 "고유(UNIQUE) 키나 기본 키(PRIMARY KEY) 충돌 시 수행할 동작"을 정의하는 MySQL/MariaDB의 SQL 구문이다.해당 키가 충돌 기준으로 사용되는 이유는 테이블 스키마에 있다.아래의 간단한 user 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