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hod

이상해씨·2023년 7월 25일
0

API

목록 보기
3/3

HTTP(Hyper Transfer Protocol)

  • client와 server 사이의 request-response protocol로 통신.

  • 요청 메소드(Method) 정의를 통해 리소스에 대한 작업을 나타냄.

  • 가장 일반적은 method는 GET, POST


Method 종류

1. GET

  • 데이터를 요청하여 취득(get). 데이터 포함 X

  • 쿼리(이름/값)은 GET이 요청한 URL로 전송됨.

  • 캐시할 수 있음.

  • 브라우저 기록에 남아 있음.

  • 북마크할 수 있음.

  • 민감한 데이터를 처리할 때 사용해서는 안 됨.

  • 길이 제한이 있음.

  • 데이터를 요청하는 데만 사용(수정 아님).

2. POST

  • 서버 데이터 추가(add), 작성

  • HTTP 요청 본문에 저장됨

  • 캐시되지 않음.

  • 브라우저 기록에 남아 있지 않음.

  • 북마크할 수 없음.

  • 데이터 길이에 대한 제한이 없음.

3. PUT

  • 서버 데이터 갱신(update), 작성
  • POST에 비해 멱등적

    💡 멱등적
    동일한 PUT 요청을 여러번 호출하였을 때, 항상 동일한 결과 생성

4. DELETE

  • 서버의 데이터 삭제(delete)

5. HEAD

  • 서버 리소스 헤더(메타 데이터 얻을 때)
  • GET과 흡사하지만, GET과 달리 본문이 없음
  • 대용량 파일, 본문 다운로드 전, GET 요청전에 반환 내용 확인에 유용

6. CONNECT

  • 프록시 동작의 터널 접속 변경

7. OPTIONS

  • 리소스에 대한 통신 옵션 설명

8. TRACE

  • 메시지 루프백 테스트를 하여 리소스 경로 테스트 수행
  • 디버깅 목적에 유용

9. PATCH

  • 리소스 일부분 수정


GET vs POST

  • Browser History(브라우저 히스토리) : 웹 브라우저에서 사용자가 방문한 웹 페이지들의 기록을 나타내는 기능.
  • Bookmark(북마크) : 웹 브라우저에서 특정 웹 페이지를 저장하는 기능.


참고

profile
공부에는 끝이 없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