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k

이상해씨·2023년 12월 8일
0

Git

목록 보기
4/4

Fork가 뭐야?

  • 하나의 프로젝트를 복사하여 새로운 SW를 개발하는 것

  • 레파지토리에 권한이 없는 사람이 레파지토리에 접근하고 싶을 때 사용

  • 기여자 등록이 되어 있지 않아도 fork를 사용하여 원본 저장소를 자신의 저장소에 복사하여 commit, push 할 수 있음

  • 허가를 받은 후, 원본 레파지토리에 자신의 코드를 merge 시킬 수도 있음

💡 Fork로 협업하기
1. Fork로 복사 👈 오늘 포스팅
2. 코드 수정 후 pull request(PR보내기)

Fork하는 방법

  • fork하고자 하는 github repository 접속
  • 우측 상단메유에서 fork를 클릭
  • create a nes fork 클릭
  • create fork 클릭시, 내 repository에 해당 repository가 fork됨

원본 저장소 변경 이력 추가하기

  • fork를 하게 되면 내 저장소에 복사되는 것이기 때문에 원본 레파지토리의 수정 내역은 follow할 수 없게 된다.
    원본 레파지토리의 내역을 보고 싶은 경우 원본 저장소를 원격저장소에 추가
  • 원격저장소 이름들을 가지고 옴
$ gir remote
  • 새로운 원격저장소를 추가
$ git remote add <새로운 원격저장소 이름> <fork한 git 주소>
  • 로컬저장소에는 없는 원본저장소의 데이터를 가져올 때 (fetch)
$ git fetch <새로운 원격저장소 이름>

Branch vs Fork

  • 공통점
    공통점 협업을 위해 분기점을 나누는 방식
  • 차이점

    1. 저장소
    차이점 하나의 저장소에서 브랜치만 나누어 사용 여러 저장소를 만들고 브랜치를 만들어 사용

    2. 이력확인
    코드 커밋 이력을 쉽게 확인, 원본 저장소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아 자유롭게 수정 (원본 저장소 이력을 보기 위해서는 주소 추가)

    3. 인원수
    소수인원에 적합, 불특정 다수와 작업

profile
공부에는 끝이 없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