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t, let, var로 시작하여 모르는 단어들이나 개념들이 많아 공부하면서 정리하다보니 여기까지 오게 되었는데, 오늘은 JavaScript 코드를 실행하는 원리인 인터프리터와 비슷하면서도 다른 원리인 컴파일러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다. Compiler vs In
해당 블로깅은 \[10분 테코톡\] 🎧 우의 Block vs Non-Block & Sync vs Async
오늘 알아볼 개념은 실행 컨텍스트와 콜 스택이다.실행 컨텍스트(Execution Context)1-1. 전역 실행 컨텍스트(Global Execution context)1-2. 함수 실행 컨텍스트(Function Execution context)1-3. 실행 컨텍스트의
자바스크립트 어플리케이션에서 값에 상징적인 이름으로 변수를 사용합니다. 변수명은 식별자(identifier)라고 불리며 특정 규칙을 따릅니다.\- MDN 문법과 자료형변수는 쉽게 말해 프로그램 실행 도중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해 확보한 메모리 공간 자체 또는 그 메모
저번 시간엔 var, const, let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다. 자료를 정리하고 공부하던 중 정리해두면 좋을 만한 주제를 써보려한다. 먼저 자주 나올 단어인 scope는 변수의 유효 범위를 뜻한다. 어떤 변수를 뜻하는 것인지는 아래에서 천천히 살펴보자. Lex
변수 선언에서 필요한 문법이다.ES2015+ 이전 버전의 js만 해도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은 var를 사용하는 방법이 통용되었다.아래에서도 많이 언급할테지만 재선언이 가능하고, 호이스팅이 실행되며, 상수 활용이 불가능하다는 점이 코드를 작성함에 있어 어려움을 줄 수
아유 어제 했던 것 처럼 하면 되겠지~ 하고 덤볐던 오늘의 스프린트, 자료 구조다. 컴퓨터 과학에서 자료구조는 데이터의 효율적인 접근을 위해서 조직되는 자료 구조라고 한다.(위키피디아, 데이터 구조) 컴퓨터에서 효율이란 메모리를 최소한으로 사용하며 최소의 시간을 사
추상 자료 구조의 기본적인 구조!후입선출의 Stack, 선입선출의 Queue에 대해 알아보겠다.Stack데이터가 들어가는 선형 자료형(linear)이다. 무슨말일까.. 하고 찾아보니 직선적인 구조라고 한다. 후입선출의 구조로, 프링글스 통을 생각해보면 좋을 것 같다.내
prototype chain은 세가지 단계로 나눌 수 있다.생성자 함수(class의 constructor)원형(부모) 객체(instance객체의 prototype)복사(자식) 객체(instance)이전 프로토타입의 기본에 대해 기록해두었던 코드이다. 클래스 방식으로 다
자바스크립트는 prototype기반의 언어라고 한다.내가 이해한 프로토 타입은 현재 내가 주체로 쓰고 있는 변수명의 원형을 말하는 것이다. 라고 말하고 자료를 찾다보니 재미있는 개념들이 몇 가지 나온다. 오늘은 이 개념에 대해 떠들어보려 한다.한번 더 말하지만, 자바스
첫 블로그 게시물인데,, 일단 일기 쓰듯 적어본다.중학교 1학년 과정에서 수학을 포기했다.피보나치 수열이라는 것은 들어보기만 했지 만들기 위해 노력을 하는 날이 올 줄이야,,수(num)를 입력 받아 num + 1개 값을 가진 배열을 생성하는 것이 오늘의 목표였다.제공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