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공부하여 이해가 된 것만 정리합니다.
post-thumbnail

자바시리즈 2 - Servlet의 등장(이라 쓰고 Web Server, WAS의 내용을 담은,,)

지난 시리즈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동적 페이지를 만들기 위해 자바 애플릿이 사용되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동적 페이지에서 요구하는 데이터의 양이 방대해지기 시작하면서 자바 애플릿 태그로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사용하는 방식에서 CGI라는 방식이 등장했다. > 여기서 잠깐, 정적 페이지와 동적 페이지의 차이에 대해 다시 짚고 간다. 정적 페이지 - 파일 경로를 받아 경로에 맞는 페이지를 반환한다. 이미 만들어져 있는 html, css, image와 같은 컴퓨터에 저장된 파일을 반환하는 것 동적 페이지 - 동적 페이지는 인자를 받아 인자에 맞는 페이지를 반환한다. 인자를 처리하는 로직이 필요하며, 웹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로직을 통해 만들어진 결과물을 반환하는 것 결국 정적 페이지와 동적 페이지는, 이미 만들어져 있는 페이지를 반환하느냐, 사용자에 따라 변화된 페이지를 반환하느냐의 차이라고 볼 수 있다. CGI ![](https://velog.vel

2023년 4월 4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