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공부하여 이해가 된 것만 정리합니다.
post-thumbnail

자바시리즈 4 - ejb의 등장 1 (Feat. Java Beans)

Servlet, JSP의 등장 이후 시스템 규모가 점점 커져갔다. 대량의 트래픽을 감당하기 위해 서버를 나누고, 여러 대의 서버와 DB가 데이터를 주고 받다보니 시스템 구조의 복잡성이 증가했다. 한 가지 요청을 위해 여러 서버나 DB가 개입해야 한다든지, 여러 db 요청이 오가야 한다든지, 요청 중 다른 요청을 동시에 처리해야 한다든지 등의 복잡한 기술이 요구되기 시작했다. 여러 시스템이 운용되다보니, 데이터가 오가는 데에 있어 보안이 취약해지는 부분이 생기기도 했다. 하지만 기업 내 한정된 개발자 풀 내에서 비즈니스 로직 뿐만 아니라 위의 문제와 요구를 해결하기는 쉽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나온 기술이 바로 이번 포스팅에 소개할 EJB이다. EJB EJB의 사상은 위에 제기된 여러 문제, 즉 로우 레벨의 기술에 대한 문제를 신경쓸 필요 없이 비즈니스 로직에만 집중할 수 있게 하는 데에 있다. EJB는 독립적으로 개발한 컴포넌트를 배포하고, 서로 연동해

2023년 4월 6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