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을 대략적으로 만들었는데 보완해야할 사항들이 필요하다.먼저 홈 ('/') 루트 디렉토리로 이동했을 때의 화면을 개선해야 한다.로그인 페이지에 회원가입 버튼 만들기대부분의 주소들이 링크가 걸려 있지 않다.로그인을 한 상태에서 로그인 페이지에 접근하면 홈으로 리다이렉
게시판에 글이 쌓이면 쌓일 수록 글 목록이 아래로 내려가면서 늘어날 것이다. 처음 너댓개 정도는 그런대로 봐줄만 하겠지만 극단적으로 100개 면 봐주기가 곤란할 것이다.그래서 page 를 나눠주는 pagination 을 할건데,board_list.html 에 글 목록과
로그인을 시도할 때 아이디와 (username) 일치하는 게 없다면 어떻게 될까?회원가입을 시도하지 않은 임의의 아무 username 을 갖다 붙이고 로그인을 시도했다.그랬더니 위의 화면이 나온다."BoardMember matching query does not exi
board_write.html 에서 복사필요없는 코드 삭제1) 포스트에서 (POST) 데이터를 올리는 코드가 아니므로 csrf token 토큰 삭제2) 반복문과 조건문 삭제3) 게시판에서 각각의 글을 확인하는 것이므로 input (제목부분) 과 textarea 는 re
board_list.html 복사해서 board_write.html 만들어서 넣기base.html 과 연결login.html 에서 사용했던 폼을 가져오기아래 버튼 이름을 글쓰기로 바꿈두 세 차례 과정을 거친 뒤 다시 수정할 예정member/forms.py 에서 복붙해
base.html 복사해서board_list.html 파일 생성부트스트랩에서 table 검색 후 적절한 것 가져다 붙여넣음'board'/ 로 시작되는 경로 설정하기 - 'board'/ 아래로 연결되는 경로는 board 앱의 urls.py 에서 관리하겠다.맨아래 urlp
1. def login(request): form 을 이용하므로 views.py 내 작성한 로그인 함수는 전보다 코드가 간결해질 예정이다. 저번과 마찬가지로 로그인함수는 http method 가 POST 인지 GET 인지에 따라 나뉘어 진다. 2. is_vaild(
현재 장고 로그인을 html 에 form 태그를 써서 만들었는데 이를 장고에서 제공하는 forms.py 를 상속받아 구현해 본다.장고에서 form 태그에 필요한 필드들을 만들어주고 관리를 해주므로 가독성과 편리함에 유리하다고 한다.기존에 작성한 login.html 에서
view 와 엔드포인트 등에서 보여주는 여러 html 파일들이 있다. 뭔가 템플릿을 추가 할 때마다 매번 html 파일 내에 head 태그를 넣고, 메타 태그를 넣고, body 에 거의 똑같다 시피한 html 코드를 항상 복붙해 오거나 따라 쳐야 할까?이제부터는 하나의
세션이 동작하기 위해서 '어딘가 에다가' 브라우저마다 저장을 하고 있었다.브라우저 어디 엔가에 어떤 형태로 세션을 사용하기 위한 정보가 들어가 있다.바로 "cookie" 라는 곳에 저장이 된다.복잡한 문자열로 된 key 가 클라이언트를 식별하는 식별자가 된다.그럼 이
앞서 포스팅한 과정을 테스트 해보니 뭔가 한번 깜박였지만 화면은 그대로이다.로그인하는 코드를 구현하다가 중도에 password 가 같은지 유무를 확인하고 같았을 때 진행될아래 코드를 pass 로 남겨 두었다.그럼 이제 이 pass 로 남겨 둔 부분을 세션을 사용해서 실
기존 만들었던 register.html 에서 이메일과 비밀번호 확인만 지워서 login.html 로 member app 내 templates 폴더에 저장해 주었다.일단 연결이 되는지만 확인하기 위해 login.html 로 render 하게 리턴만 했다.어떤 주소로 들어
클라이언트 (웹 브라우저) 와 서버 (teddybear.com 예시) 사이의 요청과 응답을 통해 보도록 하자.최초에 클라이언트에서 처음으로 쿠키 없이 서버에 요청을 한다.그러면 서버에서는 cookie : 'ABCD..' 와 같이 클라이언트가 사용할 쿠키의 key 를 만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ontent delivery network 또는 content distribution network (CDN))는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여러 노드를 가진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저장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에
Admin 페이지에서 확인해 보면 입력한 비밀번호가 평문으로 표기되어 있다.이 비밀번호를 암호화 해서 저장하는 경우를 만든다.작성하고 있는 views.py 코드 상단에 make_password 를 import 해 온다.비밀번호를 password=password 로 그대
앞서 html 에서 만든 input 의 'name' 값으로 정보들이 전달된다."username", "email", "password", "re_password" 같은 name 필드의 값을 key 로 해서 전달이 된다.위의 코드처럼 값을 가져와 변수에 할당해 주었다.그런
부트스트랩에서 가져다온 정보를 일부 수정하고 label for, input type, id, placeholder 내용을 수정하였고 이메일과 비밀번호 확인 란을 새로 추가했다.그리고 가져온 코드에서는 input 에 name 속성이 없었다.name 값이 있어야 서버로 들
register.html 파일을 생성한다.head 태그 내에 bootstrap 관련 cdn 정보들을 복사해 넣는다.https://getbootstrap.com/docs/4.5/getting-started/introduction/간단하게 회원가입 화면을 만들었다
장고에서는 관리자 페이지를 제공한다. 부트캠프에서 진행한 프로젝트에서는 관리자 페이지를 사용하지 않았었다.모든걸 다시 배우는 차원에서 이번 부터는 관리자 페이지를 사용해본다.from .models import BoardMember: 현재 경로의 models 에서 클래스
무조건 봐야하는 링크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Learn/Server-side/Django/Models참고하기 좋은 링크https://wikidocs.net/6667class 는 붕어빵 틀이고 여기에서 나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