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구현한 리마인더를 실행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본인은 라사 공식 홈페이지에 있는 깃헙을 참고하였다.
github link -> 링크텍스트
라사 가상환경을 설치한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라사를 가상환경에 설치했다면 반드시 모든 작업은 해당 가상환경에서만 이루어져야 한다. 여기서 새로운 터미널 창을 실행할 경우 매번 해당 디렉토리로 이동해야 한다는 점에 주목하자.
사용자 정의 액션 서버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입력한다.
본인은 액션 서버를 5058 포트에서 시작했다. 포트 번호는 자신이 사용하는 포트번호를 입력해주면 된다.
rasa run actions --port 5058
새로운 cmd 창을 열고 reminder를 정의한 callback_server.py 파일을 실행한다.
python callback_server_new.py
새로운 cmd 창을 열고 Rasa 챗봇을 HTTP API 서버로 실행하는 명령어를 입력한다.
rasa run --enable-api
새로운 cmd 창을 열고 PowerShell에서 HTTP 요청을 보내는 Cmdlet(명령어)를 실행한다.
Invoke-WebRequest -Uri "http://localhost:5005/webhooks/callback/webhook" `
-Method Post `
-Body '{"sender": "tester", "message": "메세지"}' `
-ContentType "application/json"
여기서 PowerShell로 실행할 경우 cmd에서 입력하는 명령어와 다를 수 있다.
이렇게 하면 5번의 cmd창에 success라는 표시와 함께 3번의 cmd창에 reminder가 잘 실행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각 명령어마다 새로운 cmd창을 실행해야 한다는 것에 주목하여 명령어를 실행해야 한다.
contact: kimyeongchaee@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