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완견 등록 기능 생성을 위한 Entity와 Repository를 만들었습니다.
소셜 로그인 처리 방식 중 Spring Security를 이용하여 서버에서 처리하는 방식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Token관련, 그리고 로그인/회원가입 관련 서비스와 컨트롤러를 구현하였습니다.
Spring Security를 적용한 Spring Boot 프로젝트에서 Form Login 방식을 진행했을 때 비밀번호 확인은 대체 어디서 하는지 디버깅 한 과정을 작성했습니다.
토큰 방식을 이용한 로그인과 회원가입 기능을 구현합니다. Domain~Repository까지의 구현입니다.
Spring Security을 적용하는데 필요한 여러 개념에 대한 설명과, 실제 Configuration 적용에 대한 코드입니다.
저는 불과 몇년전까지만 해도 설계가 무엇인지도 거의 모르는 상태이고, 중요한 부분도 아니라고 여겼었습니다.하지만 대학 교과과정을 밟으면서 여러 프로젝트를 진행해보니 아무리 오래걸려도 설계가 완벽하게 되어있어야 개발을 수월하게 할 수 있고, 협업할 때도 소통이 원할하게
영화 번호를 누르면 조회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서비스 계층에서 영화 번호를 이용하여 MovieDTO를 가져오는 작업부터 진행하겠습니다.
이전에 사용했던 PageRequestDTO와 PageResultDTO를 이용하여 목록 페이지를 생성하겠습니다.MovieRepository에서 목록을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를 받아오는 메서드는 이미 설계를 했었는데, movie, movieImage, 평점, 리뷰수라는 객체
앞서 배운 내용들을 응용하여 영화와 리뷰 리스트를 보여주는 페이지를 만들겠습니다.먼저 이전에 사용하던 List 템플릿을 다시 static 폴더에 넣어 이용하겠습니다. 또한 별도로 생성한 Layout 타임리프 페이지는 templates 폴더에 넣어 이용하겠습니다.영화 등
Servlet 3버전부터는 파일 업로드 라이브러리가 자체적으로 탑재되어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SpringBoot 구동 시 Tomcat을 이용한다면 별도의 라이브러리 설치 없이 설정만 해주면 됩니다.application.propertieslocation에는 임시파일을
먼저 Repository부터 생성하겠습니다. MovieRepository와 MovieImageRepository를 생성하고 JpaRepository를 상속받도록 합니다. MovieRepositoryMovieRepository이어서 테스트 코드를 통해 DB에 Movie
관계 데이터베이스 수업을 들었었다면 M:N관계에 있는 테이블의 설계방법을 다들 알고 계실 것입니다. 바로 새로운 테이블을 만들고, 두 엔티티의 기본키를 외래키로 참조하는 방법입니다. JPA에서는 M:N관계를 설정해줄 수 있는 방법으로는 2가지가 있습니다. @Ma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