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_startupschool(17)

박상욱·2022년 3월 31일
0

스타트업스쿨_TIL

목록 보기
1/1

퍼포먼스 마케팅 용어

기본


대부분 owned media로 퍼포먼스 마케팅 진행한다.
브랜드 이미지를 위해서 Paid media는 없어선 안되는 거라 생각해야 한다.

퍼널분석

frequency = 신규 타겟팅에선 오히려 독이다.

과금방식

타겟방식

분석용어

우리 서비스는 어떤 광고를 집행하는 것이 적합할까?

마케팅 퍼널에 따른 광고 목적

디지털 마케팅의 종류

SA



이미 유저들이 상품이나 브랜드에 대해 관심이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전환율이 높을 수 밖에 없다.
CPC를 자주 쓰는데, 광고비용 효율이 뛰어나다. 노출로 인한 무의미한 비용을 줄일 수 있다.

크게 세가지로 구분.

DA

띠지 웹사이트 광고. 현수막처럼 생겨서 배너광고로 불리기 시작. 단순히 텍스트만 아니라 우리 회사 서비스를 시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브랜드 요소와 연결되기도 한다.


CTR 매우 낮은편. 노출에 목적이 있기에.
전환에 이르지는 못했지만 노출된 고객 기록 수집하기에 흔적 이용해서 모수로 활용 가능하다. 잠재고객 확보에 효과적이다. 매체별로 다양한 노출형태 가지고 있고 타겟팅 방식도 조금씩 다르다.

디지털 마케팅 - 동영상

컨텐츠 앞 뒤, 중간에 광고가 투입되는 방식. 스타트업에게는 조금 어려운 방식

디지털 마케팅 - SNS

Meta(facebook)


페이스북 비즈니스 계정 만들면 CPM은 없을거에요. 진행 필요한 광고주 요건이, 이래요. 광고를 진행하는 범위가 굉장히 까다로워서 도달및 빈도 방식은 처음부터 할 수 없다.

이런 점수로 입찰 하는데,하나씩 설명 드리면,

최저비용: 10만원 다 쓰는데, 우리가 목표로 삼은 전환 값이 우선순위 일때는 최저비용.
최고 가치: 10만원 똑같이 썼는데, 10번 전환보다 1번 전환일으킬 때 30만원 구매했음 좋겠다 했을 떈 최고가치.

비용한도: 어떤 상황이 되든 30만원 쓸래요.
최소 ROAS: 1000달러 광고비 지출하고 1200달러 구매 발생시키고 싶어 ROAS 한도 1.2로 해놓음.

입찰가 한도: 이런 경우는 사실, 얼마정도에 팔리겠구나. 회사내에서 CPC CPM 알고 있을 때 사용. 초반에 하실 때는 수동 입찰은 사용하진 않습니다.

광고 치적화 기준은 페이스북이 가지고 있다.
링크 클릭 or 랜딩페이지 조회 or 전환 or 고객수 말고 구매를 얼마나 많이 일으키느냐 (ROAS 중시)


페이스북은 기본적으로 노출하고 1일 클릭하고 7일 정도 까지는 우리 광고의 성과로 인정해주겠다.
클릭을 오늘 했어요. 오늘 했으면, 다음주 목요일까지 그 광고로 안들어가고 상품을 사면, 그 기여기간이 광고에 보장 되는거에요. 스쳐지나가듯이 봤으면, 그 광고의 기여기간이 하루다. (결과론적인.. 데이터니까.)

Google


유튜브 영상 밑에서 뜨는 광고도 키워드 광고라고 보면 된다.

cpc를 낮게 운영하는게 중요한데, 출혈경쟁을 위해 입찰가격을 높게 설정 한다면 좋은 키워드를 비싸게사서 효율적인 마케팅을 할 수 없다.

위 캄고해서 캠페인을 설정하실 때 원하는 광고목표를 선택하시면 된다.

구글 데이터를 통해 타겟팅을 하고 있다.

이거의 장점은 사실, 소재를 만든다고 했을 떄 어떤 상품으로 운영하고 어떤 위치에 게재할거다 했을 때, 사이즈가 다르고, 캐러셀이나 카탈로그 운영한다면, 소재들의 크기가 다르기에 하나씩 캠페인에 따른 소재들을 구성해야하는데, 반응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면 적절히 조합을 해준다. 그래서 도달범위가 확대되고, 이 조합을 진행한다음에 구글에서 머신러닝 모델 기반으로 실적들을 파악한다음에 최적화를 해준다. 이 지면은 조금 전환율이 낮다, 분석해준다.

구글은 cpc라 보면 된다.

이건 CPM 방식. 스킵이 가능한 건 14000원 노 스킵은 12500원. 광고 돌리고 싶으면 1000만원 이상 태운다 해야지 유튜브 키즈에 돌릴 수 있다. 마스트 헤드는 가장 상단에 있는 구좌. 이 광고는 하루 만에 가장 많은 타겟에게 도달할 수 있는 광고. 이건 CPD 방식. 광고 하루에 1억 5천. 연초에 마감됨. 취소되는 구좌는 CPM 마스트헤드 2800원. 그냥 노출이 아니라 20대 +게임 같은 타게팅 조건 추가하면, 2800원+700원씩 추가. 최소 예산 1000만원이상 써야지, CPM 마스트헤드도 이용할 수 있다. 프라임 팩은 방송사 컨텐츠나 유튜브 웹 오리지널 컨텐츠 경우에 앞뒤로 붙는다. 이것도 CPM. 12500원 이건 3000만원. 4주정도 운영하시는 걸 권장.

그래서 대부분 경매형 사용함.

네이버

라이트형이 50만원부터 시작한다고 보면 된다. 기본적으론 30일 기준. 기본적으로 30일동안 50만원 내고 집행한다고 생각하시면 된다.

품질지수 어떻게 높이는데? -> 구매자가 원하는 정보와 많이 연관될 수록.

경매방식이 아님.

카카오모먼트

이모티콘 공짜로 다운받으실 때, 친구추가하라고 나오는데, 우리가 이 사람들에게 카카오톡 채널 운영하게 정보를 제공해주는 거라 생각하면 됩니다. 바로 집행은 불가하고, 카카오톡 채널 있어야하고 어느정도 친구 수가 있어야 효율적인 광고집행이 가능합니다.

본인들의 서비스에 맞는것도 중요하지만 검색량도 많이 늘려서 검색하는 사람들이 우리 서비스에 유입되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profile
기획,디자이너,개발 찍먹파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