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 TIL 3일차

_·2023년 9월 12일
0

산술연산자

1. 이항연산자 (binary operator)

두개의 피연산자(A, B)를 가지는 연산자. A 연산자 B 의 꼴로 사용함. 피연산자는 변수나 숫자가 될 수 있음.

  • 더하기
  • 빼기
  • 곱하기
    / 나누기
    % 나머지

2. 단항연산자 (unary operator)

하나의 피연산자(A)를 가지는 연산자. 보통 연산자A의 꼴로 사용함. 대표적으로 - 연산자가 있으며, -A의 꼴로 사용하는 경우 -는 이항 연산자가 아닌, 단항연산자임. A변수에 -1을 곱한 효과가 발생.

증감연산자 (++, --)
표현식 안에서 변수의 값을 증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음.
각각, A=A+1, A=A-1의 효과를 발생함. 연산자를 변수 앞에 사용한 경우와 변수 뒤에 사용한 경우에 따라 변수의 값을 업데이트 하는 순서가 바뀜.

var a=1;
console.log(a);
console.log(++a);
console.log(--a);
console.log(a);

1
2
1
1

3. Math 관련 명령어

Math.pow(A,b) : A의 B승을 구해 줌
Math.sqrt(A) : A의 제곱근을 구해 줌
Math.random() : 0~1 사이의 임의의 난수를 발생시켜 줌

4. 실습

함수 사용하기

1. 함수의 정의

호출에 의해 여러번 실행할 수 있는 코드 블럭

반복되는 코드 감소
코드의 개발 및 수정 용이

2. 함수 정의 구문

function 함수이름(파라미터1, 파라미터2){
    /*
        실행될 코드
    */
    return 반환값;
}

파라미터 : 함수의 정의부분에 나열되어 있는 변수
여러 개인 경우 콤마(,)로 구분
파라미터가 필요없는 경우 없어도 됨
함수 안의 코드에서 변수처럼 활용 가능

return 구문 : 함수의 출력으로 내보낼 값
return 구문을 만나면 함수는 즉시 종료됨
함수를 호출한 표현식은 반환값으로 대치됨

3. 함수의 호출 방법

함수이름(인자, ...)의 형태로 호출

4. 함수 호출 구문 예시

var inp = prompt();
console.log("Hello World");
var randomValue = Math.random();

5. 실습

관계연산자

1. Relational operator, 관계연산자

두 표현식(A, B)의 관계를 비교하는 이항연산자. 관계에 따라 boolean 타입의 true, false로 표현됨.

관계연산자		동작			  	True인 예시	 False인 예시
	<	A보다 B가 더 큰 경우 참			3 < 5		3 < 3
	>	A보다 B가 더 작은 경우 참	   5 > 3	   3 > 3
	<=	A보다 B가 크거나 같은 경우 참	  3 <= 3	  4 <= 3
	>=	A보다 B가 작거나 같은 경우 참	  3 >= 3	  3 >= 4
	==	A와 B가 같은 경우 참			 3 == 3		 4 == 3
	!=	A와 B가 같지 않은 경우 참		3 != 4		3 != 3

2. Logical operator, 논리연산자

두 boolean 피연산자에 대해 연산하는 연산자

3. AND(&&) 연산자

두 피연산자가 모두 true인 경우에만 true를 나타내는 이항연산자

     	True	False
True	True	False
False	False	False

4. OR(||) 연산자

두 피연산자가 하나라도 true인 경우 true를 나타내는 이항연산자

		True	False
True	True	True
False	True	False

5. NOT(!) 연산자

피연산자가 true인 경우 false를, false인 경우 true를 나타내는 단항연산자

6. 실습

연산자 우선순위

1. 연산자 우선순위

수학에서 곱하기를 더하기보다 먼저 계산하는 것처럼, Javascript에서도 연산자에 우선순위가 존재

2. 우선순위 순으로 정리한 연산자

++, --
!
*, /, %
+, -
<, <=, >, >=
==, !=
&&
||

3. 괄호

우선순위를 명시하기 위해 괄호를 사용. 괄호안의 계산식이 먼저 계산됨

※ 부가적 효과
코드의 가독성 향상
연산자 우선순위 실수 방지

String 이어붙이기

1. 문자열 길이 알아내기

문자열의 .length 속성을 이용
str.length

2. 문자열 붙이기

1) .concat 함수 사용
str1.concat(str2)

2) 더하기(+) 연산자 사용
str1 + str2

3. 실습

String 다루기

1. 특정 위치의 문자열 알아내기

.charAt 함수 이용
첫 문자 : str.charAt(0)
마지막 문자 : str.charAt(str.length-1)

대괄호([]) 사용
첫 문자 : str[0]
마지막 문자 : str[str.length-1]

2. 부분문자열 구하기

문자열의 연속된 일부분을 구하는 함수

.substring(pos1, pos2) : pos1 에서 pos2까지의 부분 문자열 반환
pos2 생략시 pos1에서부터 마지막 까지의 문자열 반환

substr(pos, length) : pos에서 length길이 만큼의 부분 문자열 반환
length 생략시, pos에서 마지막까지의 문자열 반환
pos 가 음수인 경우, str.length - pos 로 동작

3. 문자열 검색하기

indexOf(str) :
lastIndexOf(str) :

4. 실습

학습 완료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