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https://de-vlog.tistory.com/ 이사중입니다
post-thumbnail

TIL Context switching

한 프로세스에서 다른 프로세스로 CPU를 넘겨주기 위해서CPU를 내어주는 프로세스의 상태를 그 프로세스의 PCB에 저장CPU를 새롭게 얻는 프로세스의 상태를 PCB에서 읽어옴Untitled주의! 프로세스 A가 interrupt나 system call로 인해 Kernel

2023년 7월 20일
·
0개의 댓글
·

TIL 7/12

프로세스와 스레드 모두 실행의 독립적인 시퀀스차이점 : 같은 프로세스 안의 스레드들은 shared memory space 안에서 동작반대로 프로세스는 Separate memory memory space 안에서 동작실행중인 프로그램Disk → 메모리 적재OS로부터 add

2023년 7월 1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Pintos project4

인자로 받은 name이라는 이름을 가진 파일을 dir 디렉토리에 추가한다. inode_sector에는 파일의 inode가 있다.그림으로 그리면 이런 느낌이다.얘를 부르는 함수들은 각각filesys_createdo_formatfilesys_create_dirfilesys

2023년 5월 2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Pintos Project3: Swap In/Out

유저 프로그램이 메모리 할당요청그러나 모든 프레임이 할당돼있음현재 사용중이지 않은 프레임을 디스크로 swap out이 swap out된 페이지에 유저프로그램이 접근하기를 시도할 시, OS는 해당 페이지의 내용을 메모리에 돌려놓음으로서 페이지를 복구시킴(swap in)이

2023년 5월 24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Pintos Project3 : stack growth

Vitrual Memory의 3번째 과제는 이전까지 USER_STACK에서 시작한 단일 페이지로만 관리되던 스택을, 필요에 따라 추가 페이지를 할당해주는 구조로 변경해주는 과제이다."필요에 따라" 라고 함은, 접근이 스택에 대한 접근으로 보일때를 의미한다. 여기서 주로

2023년 5월 1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Pintos Project3 : ~ anonymous page 페이지 초기화 흐름 정리

현재 anonymous까지 구현을 마치고, 일부 돌아가지 않는 테스트들에 맞게 코드를 수정하고 있는 단계이다.핀토스는 하나의 프로세스를 만들고, 이를 fork해서 사용하는 방식이다. 이때, 첫 부분(하나의 프로세스를 만들기)에서 uninit 페이지를 생성하고, 이후 f

2023년 5월 1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Page type / swapping - pintos 시작 전 개념정리

Page type Uninitialized page - Lazy initialization Anonymous page - Stack growth file-backed page - mmap syscall Swap in/out page replacement pol

2023년 5월 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Paging - pintos 시작전 개념정리

Paging Virtual Page Physical Frame 페이징을 활용하여 frame과 page를 매핑한다. frame 물리 메모리를 fixedsizeblock 으로 쪼갠 것 page 논리(logical) 메모리를 samesizeblock으로 분할한

2023년 5월 9일
·
0개의 댓글
·

Pintos project 2 - 시스템콜 흐름 정리

태초에 쓰레드가 생성되는 메모리 영역은 커널 영역쓰레드에게 명령어를 수행하도록 함.exec() 시스템 콜의 결과로 해당 쓰레드를 유저모드로 변경이때 해당 쓰레드가 실제로 메모리에 존재하는 곳은 여전히 커널모드유저 영역에서 작업하도록 하기 위해서 해당 쓰레드가 가르키는

2023년 5월 8일
·
0개의 댓글
·

Pintos1 - Priority scheduling

Ready_list를 우선순위 순으로 정렬하여서, running thread를 결정하는 기준이 각 스레드의 우선순위가 되도록.synchronization의 구현 요소에 대한 Wait_list를 우선순위 순으로 정렬.우선순위가 높은 쓰레드가 낮은 쓰레드를 기다리고 있는

2023년 4월 2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W07)WebProxy

7주차는 웹 서버를 구현해보고, 이 웹 서버에 대한 프록시 기능을 하는 프록시서버를 구현하는 주였다. 전체 코드처음에는 네트워크 공부를해야하나... 했는데, CSAPP 11장을 여러번 읽고 나니 무엇을 해야할지 감이 왔다. 위의 사진에서 보이듯,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은

2023년 4월 2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W06) Malloc Lab

6주차는 Malloc기능을 직접 만들어보는 과제를 수행하였다.Implicit - 구현 코드 보기 : (util: 44, thru 12점)implicit 까지는 CSAPP 교재 자체에 코드가 존재한다. 그냥 무작정 보고 하기엔 감이 오지 않아서 해당 코드를 보고 따라해보

2023년 4월 1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rbtree Insert / Delete

Rotation RBTree의 삽입과 삭제에 대해서 살펴보기 전에, 먼저 Rotation에 대해 알고 가야 합니다. Insert와 Delete 각각의 연산은 RB트리 상에서 O(lg n)시간 안에 수행됩니다. 이때 트리를 수정하기 때문에 RBTree의 속성들을 위반할

2023년 4월 5일
·
0개의 댓글
·

gcc로 빌드하는 과정을 용이하게 해주는 Makefile

1번 테스트를 통과하기 위한 코드를 짰는데, 분명히 맞게짰는데 테스트가 통과가 안됨. gdb 디버거 사용법을 익혀가지고 해당 메서드를 디버깅해봤는데, 오잉? 여기!!!라고 표시된 곳에서 코드가 더 이상 진행되지 않고 끝나버림. 알고보니 make에 대한 무지에서 비

2023년 3월 31일
·
0개의 댓글
·

정글 W03 - 그래프, BFS, DFS, 위상정렬

지난주 목요일에 W01 마무리로 시험을 봤는데, 무려 세개중에 0개나 맞았다..! 호기롭게 두개는 맞추자고 각오하고 들어갔는데.. 첫 문제에서 무언가에 홀린듯이 moo 순열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했고, 무슨 무슨 초과를 보며 마음은 점점 다급해져갔다. 메모리 초과를

2023년 3월 22일
·
0개의 댓글
·

정글 W02 - 분할정복, 이분탐색, 스택, 큐, 우선순위 큐

W01과 마찬가지로 이번주도 새로운 알고리즘들에 대해 익히고 문제를 통해 체화하는 주였습니다. 저번주에 비해 난이도가 꽤나 올라간것이 느껴졌습니다. 푼 문제는 백준 27문제 + 개인적으로 푼 리트코드 8문제 해서 35문제네요. 블로그를 쓰며 생각해보니 추가적으로 문제

2023년 3월 15일
·
0개의 댓글
·

python 변수의 scope는 컴파일 타임에 정해진다

백준 카드놓기를 풀면서 함수 내부 변수의 Scope가 어떻게 결정되는지 알게된 것을 기록합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해당코드에서 concat함수안의 dp : 전역변수 사용curStr : 지역변수 사용이기에 print(curStr)구문은 UnboundLocalError:

2023년 3월 5일
·
0개의 댓글
·

SW정글 시작 + W01

개발을 시작한지 1년이 조금 넘은 지금, SW정글에 참여하게 됐다. 처음에는 데이터 분석이나 좀 배워볼까 하고 시작한 것이 이렇게까지 올 줄은 몰랐다.지난 1년여간 열심히 공부하였지만, 전공자가 아니고, 절대적인 시간의 부족함이 있었기에, CS지식이나 알고리즘 등 기초

2023년 3월 4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Java heap space가 부족해요

ec2 인스턴스에서 gradle build가 지속적으로 실패하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처음 만난 문제는 이거였습니다.What went wrong:Gradle build daemon disappeared unexpectedly (it may have been killed

2023년 1월 1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소셜 로그인 후 HTTP로 리다이렉트 되는 문제

https를 적용하니 구글로그인 시도시 리다이렉션 URL이 없다고 뜹니다.오류 세부 정보맨 밑의 redirect_uri를 구글 콘솔의 승인된 리디렉션 URI에 추가해주면로그인은 되는데, 로그인 OR 로그아웃 이후 HTTP로 이동하는 문제가 생깁니다.현재 톰캣은 프록시

2023년 1월 10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