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린이에서 코른이로.. ( 타입과 변수 )

양선우·2022년 12월 18일
0

타입

  • Number 타입
  • String 타입
  • Boolean 타입

오늘 배운 타입의 종류는 세 가지였다. Number 타입, String 타입 그리고 Boolean 타입이다.



  • Number 타입
    자바 스크립트 내에 숫자를 표기하기 위한 데이터 타입

Math 내장 객체를 사용하여좀 더 복잡한 계산을 할 수 있다.

Math.floor(): 괄호 안의 숫자를 내림하여 반환합니다.
Math.ceil(): 괄호 안의 숫자를 올림하여 반환합니다.
Math.round(): 괄호 안의 숫자를 반올림하여 반환합니다.
Math.abs(): 괄호 안의 숫자의 절대값을 반환합니다.
Math.sqrt(): 괄호 안의 숫자의 루트값을 반환합니다.
Math.pow() : 괄호 안의 첫 번째 숫자를 밑, 두 번째 숫자를 지수인 숫자를 반환합니다.


*Number 타입의 경우는 String 타입과 헷갈리지 않도록 유의해야겠다.

'0' 은 String타입이지만 0은 Number타입이다.
이 부분은 후에 코드를 작성하게 될 때 항상 염두해야 하는 부분이다.



  • String 타입
    인간의 언어, 자연어를 JavaScript에서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 타입이다. 따옴표(’), 쌍따옴표(”), 백틱(`)으로 감싸면 된다.
    문자열을 " + " 이용하여 이어 붙일 수 있다.
    문자열의 length 속성을 이용하여 문자열의 길이를 확인할 수 있다. 문자열 값에 .length 를 붙이면 된다.

문자열에도 내장 객체를 이용할 수 있다.

toLowerCase() : 문자열을 소문자로 변경합니다.
toUpperCase() : 문자열을 대문자로 변경하니다.
concat() : 문자열 연결 연산자 + 처럼 문자열을 이어붙일 수 있습니다.
slice() : 문자열의 일부를 자를 수 있습니다.




*문자열은 대게 헷갈릴 경우가 적은데 숫자와 문자열인 숫자는 헷갈릴 경우가 많으니 유의해야 한다.

  • Boolean 타입
    Boolean 타입은 사실 관계를 구분하기 위한 타입이다 불리언 타입의 값은 true 혹은 false 둘 중 하나다.

falsy

불리언 타입은 아니지만, 자바스크립트에서 false로 “여겨지는” 값이 일부 있는데, 이를 falsy 값이라고 한다. 반대로 true로 “여겨지는” 값은 truthy 값이라고 한다

대표적인 falsy 값
false
0
-0
0n
""
''
``
null
undefined
NaN

비교연산자(comparison operator)

불리언은 비교연산자(comparison operator)로 두 값이 같은지 다른지를 확인할 때 유용하다.

=== , !== : 엄격한 동치 연산자 두 피연산자의 값과 타입이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 를 반환한다. 엄격한 동치 연산자는 보이는 값이 같아도, 두 값의 타입이 다르면 false 가 된다.

==, != : 느슨한 동치 연산자 느슨한 동치 연산자는 “대체로” 타입이 달라도 값이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를 반환한다. 이렇게 “느슨하게” 동치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예외가 많아 현대 웹 개발에서는 사용을 권장하지 않다. 참고로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 , != 를 주로 사용하는데, JavaScript에서는 ===, !== 로 비교해야 한다.

논리연산자(logical operator)

논리연산자(logical operator)로 두 값 간의 논리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 : 논리합(OR)
두 값 중 하나만 true 여도 true 로 판단합니다.
두 값이 모두 false 면 false 로 판단합니다.

&& : 논리곱(AND)
두 값이 모두 true 면 true 로 판단합니다.
두 값 중 하나만 false 여도 false 로 판단합니다.

! : 부정(NOT)
오른쪽 피연산자와 반대의 사실을 반환합니다.
falsy, truthy의 반대 값을 반환합니다.



*보통 자주쓰게 되는 경우가 if문 혹은 for문에서 자주 쓰이는 것 같다.
추가로 typeof (data) === "type" 으로 해당 데이터가 해당 타입인지를 알 수 있다
(일치하면 true값이 나오고 틀리다면 false 값이 나온다)


변수

  • 변수의 선언과 할당
    변수를 선언할 때는 let 키워드를 사용합니다. let 키워드 뒤에 선언하고자 하는 변수명을 입력합니다.

  • 선언된 변수에 값을 할당할 때는 할당 연산자(=)를 사용합니다.

  • 변수의 선언과 값의 할당을 동시에 할 수 있습니다.

  • 아무것도 할당되지 않은 변수는 undefined가 자동으로 할당됩니다. 이는 초기화라는 JavaScript의 독특한 특징입니다.

  • let키워드로 선언한 변수에 새로운 값을 할당할 수 있습니다. 이를 재할당이라고 합니다. 재할당에도 할당연산자(=)를 사용합니다.

  • let 키워드가 아닌 const 키워드를 사용하면 재할당이 금지 됩니다.




*변수를 선언하여 해당 값에 할당하거나 함수의 값을 넣거나 할때 사용한다.
가장 많이 접하게 될, 하지만 가장 어려울 기초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템플릿 리터럴(template literal)

값을 큰 따옴표(”), 작은 따옴표(’), 백틱(`)으로 값을 감싸면 문자열(string) 타입이 된다는 것을 이전에 학습했습니다. 이중에서 백틱을 사용하는 방법을 템플릿 리터럴이라고 합니다. 템플릿 리터럴은 큰 따옴표, 작은 따옴표를 사용한 표기 방법과는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문자열 내부에 변수 삽입할 수 있는 기능은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므로 반드시 알아두어야 합니다.

템플릿 리터럴 내부에 ${}를 사용하여 변수를 삽입할 수 있습니다. 이때, 문자열이 할당되지 않은 변수도 문자열로 취급됩니다.

*예시로 return '${template} +${literal}'(벡틱(`)대신 따옴표(')로 표현함) 을 하게 되면 결과 값은 template literal 이 나온다.

profile
코딩이 하고 싶은 사람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