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에서 배포와 CI/CD를 담당하기로 하였다. CD는 경험이 없고,배포와 CI는 교육에서 빠르게 맛만 본 느낌이라 가입부터 배포, CI/CD까지 공부한 내용을 글로 정리하여 공부하고자 한다.
처음 교육에서 AWS를 설명 들었을 때에는 쉽게 이해가 되지 않았고, 스스로 구글링을 하며 배우기에는 자신이 없었다. 때문에 인프런에서 블랙프라이데이 행사때 눈여겨 보던 박재성님의 AWS와 CI/CD 강의를 구입하였다.
앞으로 강의 내용과 서적, 구글링을 통해 배운내용을 토대로 진행하려고한다.
AWS에 가입하는 새로운 계정은 1년간 프리티어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나는 전에 쓰던 이메일 계정은 탈퇴를 하였고, 탈퇴한 계정은 다시 재가입이 안된다는 것을 알았다.
이때 새로운 계정을 계속해서 생성하여 프리티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
AWS는 메일 계정을 기준으로 계정이 생성된다. 때문에 카드나 전화번호가 동일해도 이메일만 다르다면 무제한 무료 사용이 가능하다.
이때 Gmail을 통해 계정을 만드는 글을 발견했다.
이 단계에서 중요한 부분은
프리티어로 EC2,RDS,S3등 주요 서비스들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프리티어를 초과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서비스 마다 다른 요금이 청구되기 때문에 유의해야한다.
이번에도 국가는 대한민국으로, 전화번호는 010으로 시작하여 입력하면 된다.
AWS는 사용자들을 위해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으며, 지원들 마다 가격이 다르다. 나는 프리티어를 사용 할려고 하고, 나중에 변경할 수도 있기 때문에 기본 지원을 선택하면 된다.
처음 로그인을 시도하면 두가지 로그인 방식이 존재한다.
AWS 계정을 처음 생성할 때 사용된 이메일 주소와 비밀번호로 로그인하는 사용자이다.
<특징>
AWS 루트 사용자가 생성한 개별 사용자 계정으로, 특정 권한을 가진 계정입니다.
<특징>
AWS의 권고사항을 보면, 루트 사용자를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말 것을 강력하게 권고하고 있다
왜냐하면 root계정은 모든 권한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해킹시 금전적으로 막대한 손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다.
즉, 루트 계정을 만들고 IAM 관리자 계정을 생성한 후 IAM 사용자로 이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안녕하세요 웅찬님~ ㅎㅎ
프리티어 계정 무한 생성~ 되게 유익한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