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이 글은 개인적인 엘라스틱 서치 공부 내용을 담아놓은 글입니다.
참고 문헌
Elastic 가이드북
elasticsearch
전문적인 검색 기능을 가진 API 느낌

Elasticsearch의 특징
- 오픈소스
- 실시간 분석(real-time)
- 전문(full text) 검색 엔진 : 역파일 색인
- RESTFul API
- 멀티테넌시 : 서로 다른 인덱스들을 별도의 커넥션 없이 하나의 질의로 묶어서 검색하고 검색 결과들을 하나의 출력으로 도출하는 것
데이터 색인
- 색인(indexing) : 데이터가 검색될 수 있는 구조로 변경하는 과정
- 인덱스(index) : 색인 과정을 거친 결과물 또는 색인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소
- 검색(search) : 인덱스에 들어있는 검색어 토큰을 포함하고 있는 문서를 찾아가는 과정
- 질의(query) : 사용자가 검색시 입력하는 검색어 또는 검색 조건
Logstash
데이터 수집 도구

작동 순서
- 입력 : 다양한 데이터 저장소로부터 데이터 입력받음
- 필터 : 데이터 가공
- 출력 : 다양한 데이터 저장소로 데이터 전송
Kibana
UI?? 같은 느낌. 다양한 시각화를 도와줌

기본 메뉴
- Discover : 색인된 소스 데이터들의 검색을 위한 메뉴
- Visualize : 다양한 차트로 표현할 수 있는 패널은 만드는 메뉴
- Visualize 메뉴에서 만들어진 시각화 도구들을 조합해 대시보드 화면을 만들고 저장, 불러오기 등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