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콜백함수 알아볼게여
함수에 파라미터 형태로 들어가는 함수
자바스크립트에서 순차적으로 코드를 실행하고 싶을 때 씀
이벤트리스너 같은거 배울 때 콜백함수 많이 볼 듯
document.querySelector(".button").addEventListener("click", function() {
"이거 실행시켜 주세요~"
})
버튼 누르면 "이거" 실행시켜 주세요~ 라는 코드입니당
이 때, 여기서 function(){}
이 부분이 콜백함수임
그리고, 다른 곳에서 만든 함수도 콜백함수로 넣을 수 있읍니다
function first(파라미터) {
console.log(1)
파라미터()
}
function second() {
console.log(2)
}
first(second)
// first 함수 안의 코드 실행시켜주세여
// 근데, 파라미터에 second 집어넣어서
요렇게요
저거 실행하면, first 함수 실행되고, second 함수 실행될 듯
이렇게 순차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읍니다
DB에서 A, B, C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뽑으려면
db.collection('post').findOne(A, function(){ db.collection('post').findOne(A, function(){ db.collection('post').findOne(A, function(){ ... } } })
넘 길어져요 ㅠ
넹 근데 우리가 선택한 자바스크립트니까 악으로 깡으로 버텨야합니당
아니면, 콜백함수로 함수 디자인 하지 말구
Promise
, 아니면 async & await
쓸 수 있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