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 진행상황을 명확하게 공유하지 않았고, Github 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해 많이 아쉬움이 남는다.
성공!
Router 를 통해 동적 라우팅 구현
Form 유효성 검증 기능 적용
1개의 버튼 컴포넌트로 모든 버튼 구현
.env 를 통해 서버를 환경변수로 선언
development 환경에서만 redux devtool이 활성화 되도록 설정
Glitch 를 사용해 서버 배포
다음기회에...
custom hook 사용하기
프로젝트 진행 시, 팀원들과의 소통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닳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무작정 기능을 구현 하는 것보다, 어떠한 이유로 구현을 하는지, 이기능은 왜 구현을 하는지 이해를 하면서 코드를 짜야한다는 것을 다시 한번 알게 되었다. 개발의 흐름 또한 얼추 파악하긴 했지만, 리액트 문법, 자바스크립트 문법이 탄탄하지 않다보니 조금 버벅거리는 부분이 많아서 굉장히 아쉬웠다.
다음부터는 프로젝트에 들어가기 전에 최소한의 알아야할 것들을 충분히 숙지하고 들어가야겠다.
김도훈
전체적인 학습량 부족으로 프로젝트에 버벅이는 부분이 많았습니다 . 프로젝트를 하는데 최소한의 지식 습득을 통해 원할한 진행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git과 github 역시 숙지를 더 해야될거 같습니다. 기능 구현 및 왜 이 기능이 구현하는지에 대해 남에게 설명할 수 있을 정도로 지식을 충분히 쌓아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정형규
리액트에 대해 부족한 부분이 많아 프로젝트에서 다소 지연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했고, 어려운 부분도 있어서 초기와 다른 결과물이 나와서 아쉽기도 했습니다. 팀원분들께 불편을 끼친 부분도 있는것같아 죄송스러운 부분도 있었던 것 같습니다...좀 더 시간을 투자하여 학습하고 모르거나 오류가 생긴 부분에 대해서는 팀원분들과 소통하면서 해결점도 찾아가는 것 또한 필요하다고 느꼈습니다.
서재희
프로젝트를 진행 할 때 소통이 얼마나 중요한지, github 으로 issue 관리를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이번 프로젝트 때 많이 배웠습니다.
강창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