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함코 프로젝트에서 사용하기 위해 AWS RDS를 사용하기로 했다.
RDS 란?
- AWS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이다.
- 서버 컴퓨터에 직접 MySQL이나 MariaDB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설치하지 않고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 텍스트 조정 가능한 용량을 지원하여 추가 비용을 내고 확장시킬 수 있다.
회사에서도 그렇고 aws를 많이 이용하는 것 같아서 나도 사용법을 익히고 직접 사용해보면 좋을 것 같다고 판단하여 직접 생성하여 이용해보기로 결정했다!
- IAM 계정으로 하는 이유는,
루트 사용자로 할 경우, 모든 서비스에 대한 권한이 있기 때문에 보안상 취약하기 때문이다.
IAM 계정을 생성하여 각 IAM 계정에 필요한 권한만 갖도록 설정할 수 있고, AWS에서도 IAM 계정을 생성하여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프리티어는 20GiB까지 이용할 수 있다고 한다.)
프리티어 조건에 맞게 잘 설정해서 생성한 뒤,
퍼블릭 액세스를 가능하게 설정했으니
나는 DBeaver를 이용할 것이다.
DBeaver란,
SQL 클라이언트이자 데이터베이스 관리툴 이다.
DBeaver에서 플러그 아이콘을 누른 뒤,
serverhost에 엔드포인트를 입력하고,
생성할 때 입력한 database와 username, password를 각각 입력한 뒤**
좌측 하단의 Test connection .. 을 누르면 성공적으로 연결됐다고 한다.
그럼 이제 내가 생성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을 할 수 있고, 이용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