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t func = function(arg1, arg2, ...argN) {return expression;};하단의 함수는 상단의 축약형이다.let func = (arg1, arg2, ...argN) => expression
function showMessage(from, text = "no text given") {...}형태 기억하기!
'??'와 '||'의 차이 는 첫 번째 truthy 값을 반환합니다. 는 첫 번째 정의된(defined) 값을 반환합니다.
alert메시지 창prompt사용자에게 텍스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띄워줌과 동시에, 입력 필드를 함께 제공합니다. 확인을 누르면 prompt 함수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열을 반환하고, 취소 또는 Esc를 누르면 null을 반환confirm사용자가 확인 또는 취소 버튼
기존의 언어 c, java와 달리 자바스크립트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값(nothing), 비어있는 값(empty), 알 수 없는 값(unknown)을 나타내는 데에 쓰인다. c, java에서 null은 존재하지 않은 객체에 대한 참조, 널 포인터(null pointer)
리스트의 중복된 값을 제외하여 다시 반환하기 Language: C return이 왜 head인 지... 왜 newList를 쓰면 안 되는 지... 근데 newList를 쓰면 안 되는 이유는 -ㄴ-가 알려줘서 납득은 했는데 ... 왜 head일까? newList에서 작업을 했는데, 어째서 그 작업의 변화가 head에도 반영이 된 걸까?... 나는 공부...
색 참고 사이트: https://material.io/resources/color/flexbox 사이트:https://css-tricks.com/snippets/css/a-guide-to-flexbox/flexbox는 container에 꾸며주는 속성
: 버그 수정이나 새로 만드는 기능들이 메인 리파지토리에 주기적으로 빌드되고 테스트가 되어서 머지되는 것을 뜻함.: 1. 코드 변경사항을 주기적으로 빈번하게 머지해야 한다.: 2. 통합을 위한 단계 ( 빌드, 테스트, 머지 )의 자동화 \-> 버그 수정 용이, 문제점을
const dog = { type: '🐶', name: '츄츄', owner: { name: 'dyung'}};console.log('logging', dog);//log levelconsole.log('log'); //개발 - 출력console.info('info
DRY(Don't Repeat Yourself): 반복하지마라 <> WET(Write Every Time, Twice)->(Waste Everyone's Time)KISS(Keep It Simple, Stupid): 심플하고 멍청하게 유지하자ex) UI클래스에는
: 함수에서 외부 상태값을 참조하거나, 외부의 상태를 변경하는 것은 순수함수라고 볼 수 없다.: 동일한 인자를 넣었을 때, 항상 동일한 결과값을 반환하고 : 언제 선언이 되었는 지, 외부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함.\-> 함수 안에서 외부의 상태값을 변경한다면 그건
유용한 오픈 API 사이트Giphy) https://developers.giphy.com/Spotify)https://developer.spotify.com/documentation/web-api/https://developer.spotify
regexr.com/5mhou| 또는 /(Hi|Hello)|(And)/gm() 그룹 /gr(e|a)y/gm\[] 문자셋, 괄호 안의 어떤 문자든 /gr\[ead]y/gm^ 부정 문자셋, 괄호안의 어떤 문가 아닐 때 /\[^a-zA-Z0-9]/gm(?:) 찾지만 기억하
계단 올라가는 경우의 수를 구하는 문제.다 써보고 나면 알겠지만, 결국 피보나치 문제였다.알고리즘 문제를 왜 풀어보라는 지 알겠던 문제 ... 근데 문제가 하나 생겼다. 마지막 수인 45를 넣으면 Time Limit Exceeded 에러가 뜬다.이유가 뭐지 ... ?
제곱근을 구하는 문제.제곱근을 구하는 문제였는데 ... 결국 도저히 못 구하겠어서구글링하여 찾았다. 근데 왜 이렇게 짜는 지 모르겠다 ... 다들 이유나 설명없이 저렇게 짰기에 일단 냅뒀는데 ... 최근에 공부한 정렬 종류 중 하나랑 비슷해보인다. 그리고 한국인 풀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