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열(Array) & 연결 리스트(Linked List)

개발자 강세영·2023년 6월 12일
0

TIL

목록 보기
57/66
post-thumbnail

배열(Array)

  • 배열은 동일한 자료형의 집합으로 구성되고 지정된 크기 만큼의 연속된 메모리 공간을 할당 받는 자료구조이다.

  • 배열의 각 요소는 인덱스 또는 키로 접근할 수 있다. 즉 랜덤 접근이 가능하다.

  • 배열의 모든 요소의 자료형은 모두 같고, 배열 자체는 연속된 메모리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간단한 주소 연산 만으로 배열을 구성하는 요소의 위치를 알 수 있다.

  • CPU에서 메모리에 적재된 데이터를 불러올 때는 요청하는 데이터를 하나씩 가져오는 게 아니라 메모리의 대역폭에 맞춰서 주변 데이터를 블럭 단위로 한꺼번에 가져와서 캐시에 적재한다.

  • 그리고나서 데이터가 캐시에 있으면 바로 불러오고 없으면 다시 다른 데이터 블럭을 가져온다. 이러한 캐시 효과 덕분에 배열 같은 순차적 자료구조는 순서대로 데이터를 조회하는 것을 매우 빠르게 할 수 있다.

  • 따라서 배열의 요소를 인덱스로 조회(접근)하는 시간 복잡도는 O(1)O(1)이 된다.

  • 배열의 요소를 순차적으로 탐색하는 시간 복잡도는 O(n)O(n)이다.

  • 최악의 경우엔 배열에 요소를 삽입하거나 삭제할 때 배열의 모든 요소를 재배치해야 하므로 배열의 크기 nn만큼의 연산이 필요하다. 따라서 삽입과 삭제에 대한 시간 복잡도는 O(n)O(n)이 된다.

  • 배열은 인덱스로 원소에 빠르게 접근해야 하거나 간단하게 데이터를 다룰 때 사용하면 좋다. 데이터의 삽입과 삭제가 빈번하다면 배열보단 연결 리스트가 더 유리하다.

  • 배열의 공간 복잡도는 O(n)O(n)이다.

  • 미리 크기를 지정하고, 크기가 고정된 배열을 정적 배열이라 한다. 미리 크기를 지정하지 않고 자동으로 조정하거나 크기를 바꿀 수 있는 배열은 동적 배열이라 한다.

  • 동적 배열의 크기 조정은 대개 더블링(doubling)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더블링이란 배열이 꽉 찰 때마다 기존 배열보다 2배 더 큰 새로운 배열을 만들어 데이터를 복사하는 방식을 말한다.

  • 더블링이라고 반드시 2배로 늘리는 것은 아니며 비율은 언어 구현마다 다르다.

  • 더블링 방식은 배열의 크기를 늘릴 때마다 데이터를 복사해야 하기 때문에 더블링 작업에 대한 시간 복잡도는 O(n)O(n)이 된다. 그러나 이는 자주 있는 일이 아니기 때문에 분할 상환(amortized) 관점으로 보면 O(1)O(1)이라 할 수 있다.

리스트(List) ADT와 연결 리스트(Linked List)

  • 리스트란 목록 형식으로 구성된 자료구조이다. 연락처 목록, 장보기 목록, 체크 리스트 같은 것들이 바로 리스트이며 순열(sequence)이라 부르기도 한다.

  • 리스트 ADT를 구현한 자료구조의 대표적인 예로 연결 리스트가 있다.

  • 리스트를 배열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리스트의 특성 상 요소들의 삭제와 삽입이 빈번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배열 보다는 연결된 노드 기반의 연결 리스트 구현이 더 효율적이다.

  • 연결 리스트는 데이터 요소의 선형 집합으로, 노드들을 연결해서 만든 자료구조이다.

  • 배열과는 다르게 연결 리스트는 원소들의 논리적인 순서와 물리적인 순서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원소들 간의 순서를 표현할 수 있는 수단(포인터 등)이 필요하다.

  • 연결 리스트를 구성하는 개별 요소를 노드(node, 마디)라고 부른다. 노드는 보통 데이터와 포인터로 구성된다.

  • 연결 리스트의 첫 번째 노드는 헤드(head)이며 마지막 노드는 테일(tail)이다.

  • 연결 리스트의 시작 부분을 알아야 하기 때문에 헤드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 변수가 필요하다. 이 변수는 C언어에서 배열명으로 배열의 시작부분에 접근하는 것과 비슷한 역할을 한다.

  • 연결 리스트의 길이는 헤드부터 테일까지의 모든 노드의 개수와 같다.

  • 연결 리스트는 동적으로 크기를 쉽게 변경할 수 있다.

  • 연결 리스트의 요소의 삽입과 삭제는 배열처럼 모든 요소를 재배치할 필요가 없고 노드의 포인터를 초기화하거나 서로 연결해주면 되므로 시간 복잡도는 O(1)O(1)이 된다.

  • 연결 리스트는 배열과는 달리 인덱스로 특정 요소에 직접 접근할 수 없고 모든 요소를 순차적으로 접근해야 하기 때문에 접근과 탐색의 시간 복잡도는 O(n)O(n)이 된다.

  • 연결 리스트의 공간 복잡도는 O(n)O(n)이다.

  • 연결 리스트는 크게 단순 연결 리스트, 이중 연결 리스트, 원형(환형) 연결 리스트로 구분한다.

단순 연결 리스트(Singly Linked List)

  • 단순 연결 리스트는 노드에 데이터와 다음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next)만 존재하며 노드가 한 방향으로만 연결되는 연결 리스트 이다.
  • 그냥 연결 리스트라고 하면 대개 단순 연결 리스트를 말한다.

이중 연결 리스트(Doubly Linked List)

  • 이중 연결 리스트는 단순 연결 리스트의 탐색 기능을 개선한 자료구조이다.
  • 노드는 데이터와 이전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prev), 다음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next)로 구성된다.
  • 즉, 단순 연결 리스트와 달리 노드가 앞뒤 양방향으로 연결된다.

원형 연결 리스트(Circular Linked List)

  • 원형(환형) 연결 리스트는 테일 노드와 헤드 노드가 서로 연결된 연결 리스트이다.
  • 원형 연결 리스트는 보통 이중 연결 리스트로 구성되지만 단순 연결 리스트로 만들 수도 있다.
  • 단순 연결 리스트로 구성된 경우 테일 노드의 next 포인터는 헤드 노드를 가리킨다.
  • 이중 연결 리스트로 구성된 경우 헤드 노드의 prev 포인터는 테일 노드를 가리키고, 테일 노드의 next 포인터는 헤드 노드를 가리킨다.
  • 따라서 이중 원형 연결 리스트는 원소들을 헤드 노드 부터가 아닌 테일 노드부터 역순으로 탐색하거나 특정 노드의 선행 노드를 찾는 연산을 단순 원형 연결 리스트보다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배열과 연결 리스트의 비교

  • 자료구조는 크게 메모리 공간 기반의 연속(contiguous) 방식과 포인터 기반의 연결(link) 방식으로 나뉜다.
  • 연속 방식의 가장 기본적인 자료구조는 배열이며, 연결 방식의 가장 기본적인 자료구조는 연결 리스트 이다.
  • 추상 자료형(ADT)의 실제 구현은 대부분 배열 또는 연결 리스트를 기반으로 한다. 예를 들면 스택은 연결 리스트로 구현하고, 큐는 배열로 구현하는 식이다.
  • 배열과 리스트 모두 중복된 요소를 허용한다.
  • 배열은 연속된 메모리 공간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연결 리스트는 연속되지 않은 메모리 공간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 배열의 한 요소를 참조하려면 인덱스로 직접 접근할 수 있지만 연결 리스트의 한 요소를 참조하려면 헤드 노드부터 테일 노드 까지 모든 요소에 순차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 배열은 요소의 삽입과 삭제에 O(n)O(n)이 걸리고 조회에 O(1)O(1)이 걸린다.
  • 연결 리스트는 요소의 삽입과 삭제에 O(1)O(1)이 걸리고 조회에 O(n)O(n)이 걸린다.
  • 배열과 연결 리스트 모두 요소 탐색(순차 탐색)에는 O(n)O(n)이 걸린다.
  • 따라서 요소를 추가하거나 삭제하는 연산이 많으면 연결 리스트가 좋고 요소를 조회하는 연산이 많으면 배열이 좋다.

언어 별 배열과 연결 리스트 사용

파이썬: 리스트(list), 데크(deque), array.array

  • 파이썬의 내장 자료형 중에서는 배열같이 모든 요소가 동일한 자료형을 가지며 연속된 메모리 공간을 차지하는 자료형이 없다.
  • NumPyndarray는 연속된 메모리 공간을 차지하며 파이썬의 리스트보다 연산이 빠르지만 기본 모듈이 아니기 때문에 원칙적으론 코딩 문제 풀이 시엔 사용할 수 없다. 하지만 일부 사용 가능한 곳도 있다.
  • 기본 모듈인 array.array를 임포트해서 사용하면 파이썬에서도 C언어 배열과 비슷한 배열을 만들 수 있지만 한정적인 숫자 자료형만 사용 가능하다.
  • array.array는 리스트보다 메모리 사용량이 적고 숫자 연산을 더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 활용하면 좋다.
  • 파이썬에서 배열 또는 연결 리스트가 필요한 경우 대개 내장 자료형 리스트(list)를 사용한다.
  • 파이썬의 리스트는 배열과 연결 리스트의 장점을 절충하여 편리하고 효율적인 데이터 연산이 가능한 자료형이다.
  • 리스트는 배열이 아니지만 크기를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정적 배열보단 동적 배열에 가깝다.
  • 연결 리스트에 대해선 collections 모듈의 deque(데크)를 사용할 수도 있다. 파이썬 내장 모듈이기 때문에 코딩 문제 풀이 시에도 문제 없이 쓸 수 있다.
  • 데크는 리스트와 비슷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 리스트에는 없는 기능도 지원하며 리스트보다 유리한 연산도 있다.
  • 데크(deque)는 double ended queue의 약자로 이중 연결 리스트 구조의 자료형이다. 따라서 맨 앞이나 맨 뒤의 요소를 삽입(appendleft, append)하거나 추출하는(popleft, pop) 작업을 O(1)O(1)에 할 수 있다.
  • 리스트의 맨 뒤에서 추출하는 연산은 O(1)O(1)에 할 수 있지만 맨 앞에서 삽입하거나 추출하려면 모든 요소를 한 칸씩 이동시켜야 되므로 O(n)O(n)이 걸린다.
  • 따라서 맨 앞에서 요소를 추출하거나 제거하는 상황에선 리스트보다 데크가 유리하다.

C++: 배열, 벡터(std::vector), 리스트(std::list)

C스타일 배열과 표준 라이브러리 배열(std::array)

  • C++의 배열은 C언어의 정적 배열과 마찬가지로 컴파일 타임에 크기가 결정되는 배열이다.
  • 선언할 때 크기를 정할 수 있고, 크기를 빈 칸으로 하면 컴파일러가 크기를 알아서 설정한다.
  • C++에선 C스타일 배열과 C++ 표준 라이브러리의 std::array를 사용할 수 있다.
  • std::array는 C스타일 배열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기능을 제공한다.
  • 코딩 문제 풀이 시엔 보통 C스타일이 편리하지만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시 std::array도 많이 사용한다.
  • std::array는 헤더를 포함해야 사용 할 수 있다.
    #include <array>
  • std::array는 다음과 같이 선언한다. std::array<자료형, 크기> 배열명;
  • std::array는 C스타일 배열처럼 인덱스 연산자([])를 지원한다.
  • std::array는 또한 대입 연산자를 지원하여 깊은 복사를 할 수 있고, array::size()로 크기를 구할 수 있으며 이터레이터를 지원한다.
  •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배열을 초기화할 수 있다.
int arr1[] = {1, 2, 3, 4, 5, 6, 7, 8, 9, 10};
int arr2[]{1, 2, 3, 4, 5, 6, 7, 8, 9, 10}; // C언어 에선 = 필요
int arr3[10]{1, 2, 3, 4, 5, 6, 7, 8, 9, 10};
std::array<int, 10> arr4{1, 2, 3, 4, 5, 6, 7, 8, 9, 10};

std::vector

  • C++ 표준 라이브러리의 std::vector는 동적 배열을 위한 자료형이다.
  • 벡터를 사용하려면 헤더를 포함해야 한다.
    #include <vector>
  • 벡터는 다음과 같이 선언한다. std::vector<자료형> 변수명;
  • 벡터는 배열과 마찬가지로 연속된 메모리 공간에 위치한 동일 자료형 요소들의 집합이며
    숫자 인덱스를 기반으로 랜덤 접근이 가능하며 중복을 허용한다.
  • 벡터는 배열과 비슷한 특징을 가지면서도 배열의 단점을 보완한 동적 배열이다.
  • 벡터의 요소에 접근하거나 맨 뒤에 있는 요소를 삭제하거나 삽입하는 경우 O(1)O(1)이 걸린다.
  • 벡터의 맨 뒤나 맨 앞이 아닌 요소를 삭제하고 삽입하는 경우 O(n)O(n)이 걸린다.
  • 벡터는 배열보다 더 다양한 메서드를 지원한다.
  • 벡터의 크기를 처음부터 정하여 생성하고 초기화를 할 수도 있다
    다음은 크기가 5이고 모든 원소를 100으로 초기화한 벡터를 선언한 것이다. std::vector<int> sv(5, 100);
  • 벡터는 동적 배열이기 때문에 처음에 크기를 정해서 생성해도 요소 삽입에 따라 용량이 자동으로 확장된다.

std::list

  • C++ 표준 라이브러리의 std::list는 이중 연결 리스트로 구현된 컨테이너이다.
  • std::list를 사용하려면 헤더를 포함해야 한다.
    #include <list>
  • std::list는 다음과 같이 선언한다. std::list<자료형> 변수명;
  • std::list는 원소들의 순서를 유지한다. 원소를 삽입할 때나 삭제할 때, 다른 원소들에 영향을 주지 않고 순서가 유지된다.
  • std::list는 동적 크기를 가지며, 필요에 따라 원소를 삽입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 std::list는 이중 연결 리스트로 구현되어 있기 때문에, 원소의 삽입과 삭제가 매우 효율적이다. 포인터 조정 만으로 원소를 삽입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 std::list는 인덱스를 기반으로 한 랜덤 접근을 할 수 없고 특정 원소에 접근하려면 순차적으로 이동해야 한다.

std::forward_list

  • std::list와는 다르게 단순 연결 리스트로 구현된 컨테이너이다.
  • std::forward_list를 사용하려면 헤더를 포함해야 한다.
    #include <forward_list>

참고자료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