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든 파일이나 코드가 많지 않다면 그냥 앱 폴더를 삭제하고 다시 만드는게 편하다만들어놓은게 많은 경우 앱 이름을 변경하는게 조금 불편하긴하지만 가능하다작업 순서1\. 폴더 이름 변경2\. views, urls, manage, settings 등에 있는 앱 이름을 바꾼
크림(Kream) 쇼핑몰 웹사이트 클론코딩 프로젝트 입니다.클론코딩은 개발 환경 셋팅부터 시작하였으며, 하단 시연 영상은 모두 백엔드와의 데이터 연동을 통해 실제 서비스에서 이용되는 수준으로 구현하였습니다.프로젝트는 11일동안 진행됨에 따라 디자인과 아래 서술한 기능들
열거형 데이터(Enum)는 models 파일 에서 관리할것, views에선 임포트해서 쓰면 된다.category\_\_name\_\_in 보다 category_id로 필터링하는게 더 좋다.size\_\_name\_\_in 보다 size\_\_id\_\_in이 좋다. 이
update_or_create는 장고에서 제공하는 메서드로 get_or_create와 비슷하게 작동한다.객체가 이미 존재하는 경우 update 하고 없는 경우 create하는 것이다.get_or_create와 마찬가지로 (object, created) 튜플을 반환한다.
get_or_create는 장고에서 제공하는 메서드로 말 그대로 객체가 존재하면 get하고, 없으면 create 하는 메서드이다.이 메서드는 실행되면 (object, created) 이라는 튜플을 반환하는데, object는 get하거나 create된 객체 자체고, cr
파이썬 만의 특징으로 패킹과 언패킹이 있다. 활용방법이 다양해서 아직 학습 중이다.기본 활용방법만 퍼와서 정리해봤다.패킹이란? 여러 개의 데이터를 담는 것 언패킹이란? 패킹한 것을 다시 푼다는 뜻이다.파이썬에서 패킹하는 방법(튜플):언패킹하는 방법(튜플):def arg
select_related, prefetch_related는 모두 장고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기능으로 ORM 최적화를 위한 것이다. 두 가지 모두 DB에 접근(hit)하는 횟수를 줄이고 더 빠르게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게 해준다.
장고의 Q객체란 장고에서 제공하는 기능으로 SQL로는 WHERE AND, OR, NOT 조건을 추가해주는 것이다. Q객체를 활용하면 복잡한 필터링을 편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filter()에 가장 많이 활용되는 듯하나 exclude(), get()에도 쓸 수
아래는 쇼핑몰의 제품 목록을 조회하는 장고 View 코드인데, 처음엔 정렬 조건을 정해주는걸 if문으로 하면 되겠다고 생각했다.그러나 내가 보기에도 계속되는 if문은 줄일 수 있어 보였고 멘토님께 문의해보니 딕셔너리를 활용할 수 있다고 하셔서 다음과 같이 리팩토링 했다
연산 대상의 개수에 따라 연산자는 단항 연산자, 이항 연산자, 삼항 연산자로 분류된다.삼항연산자란 3개의 항에 대해 연산을 하는 것이다.일반적인 if ~ else 문을 통해서 하는 연산을 한 줄로 간결하게 나타낼 수 있다.삼항연산자를 중첩해서 쓸 수도 있다.출처: h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RESTful은 일반적으로 REST 아키텍처를 구현하는 웹 서비스를 나타내는 용어이다.‘REST API’를 제공하는 웹 서비스를 ‘RESTful’하다고 할 수 있다.REST API?
JWTJson Web Token의 약자로 표준 인터넷 인증 방식 중 하나이다. 유저를 인증하고 식별하기 위해 사용한다.처음 로그인할 때 서버가 JWT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주고난 뒤 유저가 인가가 필요한 어떤 활동을 할 때마다 JWT를 http header에 첨부하
노마드코더 비밀번호 암호화DB에 단순하게 비밀번호를 저장하면 DB가 털리는 순간 모든 비밀번호가 털리기 때문에 절대 단순히 저장하면 안된다.따라서 암호화를 해야 하는데 해시 함수로 암호화 하는 방법을 많이 쓴다.해시 함수를 거친 비밀번호는 랜덤한 형태로 암호화 되고 D
장고 공식문서에서의 캐싱 설명Caching and QuerySets¶Each QuerySet contains a cache to minimize database access. Understanding how it works will allow you to write t
질문:장고에서 제공하는 이메일 등의 유효성 검증 기능과 파이썬 패키지를 이용하는 방법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실무에선 보통 어떤 유효성 검증 방법을 많이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답:장고에서 제공하는 Field Validator는 장고의 Form 기능과 관련돼있는데 Form
둘간의 차이점을 모르겠어서 나름대로 정리해봤다일단 Queryset이란 용어의 의미를 알아야 한다.장고 공식문서A QuerySet represents a collection of objects from your database. It can have zero, one o
API란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프로그램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는 것을 도와주는 매개체이다SPA 이후 웹은 페이지를 새로 만들기 보다는 API를 통해 필요한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으로 바뀜 그래서 데이터 입출력, CRUD 등을 하기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