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컴퓨팅

stoph·2022년 4월 16일
0

CS

목록 보기
1/1
post-thumbnail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인터넷을 통해 가상화 된 컴퓨터의 IT리소스를 제공하는 것

  • 인터넷 기반 컴퓨팅의 일종으로 정보를 자신의 컴퓨터가 아닌 인터넷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로 처리하는 기술을 의미
  • 컴퓨팅 자원을 원할 때, 원하는 만큼 사용하고 사용한 만큼만 요금을 지불



클라우드 컴퓨팅의 종류

두 가지 기준으로 분류하여 종류를 살펴보자

1. 서비스 제공 형태

Public Cloud (개방형 클라우드)

  • 특정 기업이나 사용자를 위한 서비스가 아닌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모든 사용자를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 누구나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해야 함
  •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IT 자원을 관리

Private Cloud (폐쇄형 클라우드)

  • 제한된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기업이나 특정 사용자만을 대상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 서비스의 자원과 데이터는 기업 내부에 저장되며 제어권 또한 기업이 가짐
  • 구축 난이도는 높지만, 보안성이 매우 뛰어남

Hybrid Cloud

  • Public과 Private을 조합해서 사용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 보안이 중요한 시스템은 Private에 그 외 시스템은 Public으로 사용가능
  • Private을 주로 사용 하되, 예상치 못한 트래픽 과부하 발생 시 Public으로 확장하기도 함
  • 최근에는 개념이 모호해져, 가상서버와 물리서버를 결합한 상태를 말하기도 함



2. 서비스 유형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사용자가 관리할 수 있는 범위가 가장 넓은 서비스 유형
  • OS, 미들웨어, 런타임, 데이터, 애플리케이션까지 사용자가 직접 구성하고 관리할 수 있음
  • 네트워크, 스토리지, 전력 등 기본적인 자원만 제공
  • 새로 컴퓨터를 하나 구매하는 개념
  • AWS EC2, Google Compute Engine 등등

PaaS (Platform as a Service)

  •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OS, 미들웨어, 런타임을 미리 구축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유형
  • 사용자는 오직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비즈니스에만 집중할 수 있음
    (코드만 개발하여 클라우드에 올리면 됨)
  • Heroku, OpenShift 등등

SaaS (Software as a Service)

  • 모든 것이 완성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형
  • 자원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및 개선 등의 서비스를 업체가 도맡아 제공
  • Slack, Microsoft365, Dropbox, Naver Cloud 등등



참고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