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JavaScript, Node.js, Express, React, React Native, GraphQL, Apollo, Prisma, MySQL

[Node.js] webpack 을 통한 Node.js express 서버 build

Nest.js 등 기본적으로 build 를 제공하는 서버 프레임워크도 있지만나 같은 경우 생짜로 Node.js 서버를 생성해서 build 를 직접 해야했다.webpack 을 사용할 경우 특정 파일 확장자에 따라 등등 규칙을 지정해 하나의 파일 또는 단순화된 형태로 난독

2023년 4월 7일
·
0개의 댓글
·

[React Native] react-native-zoomable-view binderToBorder prop 사용시 문제점

React 에서 확대/축소 기능을 사용할 일이 생겼다.React 에서 이런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추적하고 그에 따른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는 기능은 react-native 패키지의 PanResponder 라는 기능을 사용한다.확대/축소 기능 또한 PanResponde

2023년 3월 28일
·
0개의 댓글
·

[MySQL] 외부 접속 허용 시 주의 할 점

Docker 를 사용해서 서버를 띄우고 mysql 도 같은 docker 내부에 설치해야 할 일이 생겼다.docker 를 컨테이너화 할 때 시스템 관련 권한을 위해서는 --privileged 옵션을 주어서 실행시켜야 하기에 포트를 엶과 동시에 옵션을 주었다.Docker

2023년 3월 27일
·
0개의 댓글
·

[Node.js] JWT 로 accesstoken 과 refreshtoken 로 사용자 인증 프로세스 구현

플랫폼, 사이트, 모바일 앱등 대부분의 상용화된 애플리케이션들은 회원가입 및 로그인 기능이 구현되어있다.단순히 이 기능들을 구현하는 것은 간단하지만 보다 보안성이 좋게 만드려면 약간의 기술들이 필요하다.상대적으로 간단한 기술인 jsonwebtoken 을 구현하는 방법을

2023년 3월 2일
·
0개의 댓글
·

[git] git 기본 명령

git initgit init --bare해당 디렉토리에서 git 을 사용할 수 있도록 초기화한다.\--bare 를 통해 기록용 git 을 생성할 수 있다. 보통 원격 공유 git 디렉토리를 생성할 때 사용하는듯git add \[파일명]git add .commit 전에

2023년 2월 27일
·
0개의 댓글
·

[Node.js] server 에서 .env 파일을 통해 development 와 production 구분하기

Node.js 서버를 개발하다보면 개발서버와 배포서퍼를 구분해야한다.이때 .env 파일을 분리해야하는데,.env.development.env.production 과 같이 개발용과 배포용을 구분한다.React 의 경우 start 로 앱을 실행시킬 경우 .env.devel

2023년 2월 21일
·
0개의 댓글
·

[NGINX] Ubuntu 에서 NGINX Docker 로 React 배포

Ubuntu 에서 NGINX 를 통해 React 앱 두개를 443 port 로ssl 적용을 해서 Domain 으로 접속 가능하게 해야하는 상황이었다.즉 같은 port(443) 을 사용하지만 Domain 을 통해 다른 앱에 접속하도록 해야하는 것이다.우선 ubuntu 에

2023년 2월 8일
·
0개의 댓글
·

[React] .env 파일을 통한 환경변수 사용으로 개발과 배포 분리

Node.js 를 사용하다 보면 환경변수가 기입돼 있는 .env 파일을 사용하게 된다.물론 .json 이나 .yml 파일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나는 .env 파일이 그나마 익숙하기에지금까지 개발을 해오면서 .env 파일을 사용해서 환경변수를 관리했다.applicatio

2023년 2월 1일
·
0개의 댓글
·

[Node.js] crypto-js 패키지 사용해보기

로그인 기능을 구현하다 보니 암호화 복호화 기능을 사용하게 되었다.기존에는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crypto 모듈을 사용했던 기억이 있는데검색해보니 crypto-js 라는 npm package 가 있었고 description 을 보니 상당히 간단해 보였기에 사용해보았다.

2023년 1월 31일
·
0개의 댓글
·

[React Native] 에서 .env 파일 사용하기

React Native 에서 .env 파일의 변수를 사용하려면babel.config.js 에서 하기와 같은 처리를 해야한다.babel.config.js 파일의 plugins 부분에(없다면 추가) 상기와 같이 추가해주면 된다.

2023년 1월 31일
·
0개의 댓글
·

[GraphQL Nexus] query 작성 시 resolve 에서 세번째 인자 ctx 자동완성 오류

GraphQL Nexus 란 GraphQL 을 좀 더 편리하고 확장성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Javascript Library 이다.Apollo Server, Prisma 와 같이 사용하던 도중 API 를 생성하기 위해extendType 을 사용하는데 resol

2023년 1월 29일
·
0개의 댓글
·

[Ubuntu] docker container 에서 systemctl 사용시 발생하는 문제: System has not been booted with systemd as init system (PID 1). Can't operate. Failed to connect to bus: Host is down

ubuntu 에서 docker 로 ubuntu container 를 만들고 나서 cron 을 돌려야하는 상황이었다.제대로 돌아가지 않는듯 보여 cron 을 재시작 했으나 여전히 1분마다 찍어본 log 가 찍히지않아cron 이 제대로 돌고 있지 않다고 판단했다.cron

2023년 1월 16일
·
0개의 댓글
·

[Ubuntu] Docker 제거 시 제대로 안 지워질 경우 참고

vscode 를 통해 remote ssh 로 원격 서버에 접속한 뒤 docker 를 설치한 탓에docker root directory 가 이상하게 설정된 상황이 발생했다.다 지우고 다시 설치하려니 그것도 제대로 안되는 상황이던중 제대로 지우는 방법을 찾았다.상기 명령어

2023년 1월 16일
·
0개의 댓글
·

ubuntu ssh 접속시 비밀번호 없이 접속하는 방법

ubuntu 에서 scp 를 통해 파일을 옮길때 원격 서버 계정의 비밀번호를 입력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client 에서 key 를 생성해서 접속하려는 원격 서버의 ~/.ssh/authorized_keys 에 등록해 놓는다면이런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으며, 보완면

2023년 1월 12일
·
0개의 댓글
·

ubuntu 파일관련 편리한 명령

ls\-l : line 으로 표시\-t : 시간순\-r : 역순조합\-lt : line 으로 표시하면서 시간순\-ltr : line 으로 표시하면서 시간역순findusage : find \[location] \[options]\-type : 파일 또는 디렉토리 등 컨텐

2023년 1월 11일
·
0개의 댓글
·

몇몇 Docker 명령어

docker pulldocker pull 은 도커 이미지를 docker hub 으로 부터 가져올때 사용된다.ubuntu, node 등 이미 준비된 여러 환경들을 이미지로 받아올 수 있다.docker imagespull 또는 load 를 통해 로컬에 생성된 image 들

2023년 1월 2일
·
0개의 댓글
·

[Node.js] express 에서 http 와 https 둘다 사용하기

기존 node.js 서버는 http 로만 구동되고 있었는데, client 는 https 를 적용시켰기에서버또한 같은 보안수준인 https 로 업그레이드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했다.하지만 안타깝게도 해당 서버를 http 통신을 통해 요청을 하는 다른 client 도 존재했기

2022년 11월 23일
·
0개의 댓글
·

docker 에 ubuntu 설치 후 putty 를 통해 접속하기

docker 로 ubuntu container 를 생성한 뒤 마치 독립된 서버처럼 putty 를 통해 접속하는 방법을 기록한다.우선 docker container 에 접속하는 서버, 즉 docker 가 설치되는 서버가 필요하다.서버에 docker 가 설치된 이후의 과정

2022년 11월 7일
·
0개의 댓글
·

네트워크 설정을 통해 내부망 접속

CCTV 조작을 위해 네트워크 설정을 조작할 일이 생겼다.관련 지식이 없어서 삽질을 했지만 극소량의 감은 잡혀서 기록한다.CCTV 의 경우 기본 제공되는 내부망 ip 가 예를들어 111.222.1.1 로 해당 CCTV 업체가 제공하는 사이트의 ip 주소인데, 여기에 접

2022년 10월 14일
·
0개의 댓글
·

ubuntu ffmpeg 를 통해서 rtsp 접속 및 일정 구간 동영상 추출

ubuntu 서버에서 rtsp 접속을 통해 일정구간 CCTV의 영상을 추출해야하는 일이 생겼다.이때 사용할 수 있는 모듈이 ffmpeg 로 ubuntu 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었다.다양한 옵션들이 있지만 내가 해야하는 부분은 1분마다 1초 분량의 영상을 가져오는 기능이

2022년 10월 14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