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속도, 가속도

CJB_ny·2022년 9월 22일
0

게임수학

목록 보기
1/1
post-thumbnail

등속도, 가속도

속도의 변화가 있는 운동 : '가속도 운동'

속도의 변화가 일정한 운동 : '등속도 운동'

그러면 속도는 무엇인지 알아야할 필요성이 생긴다.

속도란?

  • 속도

    물체의 운동방향과 빠르기를 함께 나타내는 물리량, 단위 시간(1초)동안의 변위로 나타낸다.

    공식 : 속도 = 변위 / 걸린시간 => v = s/ t

  • 속력

    물체의 빠르기를 나타내는 물리량의 단위 시간(1초)동안의 이동거리로 나타낸다.

    공식 : 속력 = 이동거리 / 걸린시간 => v = s / t

평균 속력

시속은 1시간당 이동하는 거리로 빠르기를 나타낸 것이다.

시속 = 이동한 거리 / 이동에 걸린시간

자동차가 두시간동안 120km 이동했을 경우 시속 = 120km / 2h = 60km/h

여기서 60km/h는 시속인데 정확하게 말하면 '평균속력'을 나타낸 값이다.

평균 속력, 순간 속력

속력과 속도

시속 60km/h로 동쪽으로 향해 달리는 차와 서쪽을 향해 달리는 자동차가 있을 때

속력이 같아도 한시간 후의 위치는 전혀 다르다.

이 대문에 물체의 운동을 나타날 때는 속력뿐만 아니라 방향도 중요한 요소가 된다.

따라서 속력과 방향을 동시에 나타내기 위해 물리에서는 속도 라는 단어를 쓴다.


이렇게 해서 속도라는 단어를 왜 사용하는지는 알아냈다.

우리는 지금까지 카메라의 이동을 등속도 운동 개념을 사용하여 이동을 시켰다.

내가 클릭한 방향으로 일정한 속도값으로 카메라가 이동하는 것이다.

클릭한 의 좌표와 현재 내가 바라보고있는 곳의 좌표의 거리를 moveDis로 구하고

이값을 _getTargetTime (2초) 라는 시간으로 나누었을때 속도가 나온다.

이것을 가속도 운동을 통해서 구현을 하고싶은 것이다.

그렇다면 가속도 운동을 알아보자.

가속도

움직이는 물체의 속도가 시간에 따라 변하면, 그 물체는 가속도를 갖는다고 한다.
즉, 가속도라는 것은 단위 시간 동안의 속도 변화율을 나타내는 것이다.

  • 3m/s 속도로 달리던 자전거가 5초후에 5m/s 가 되었다고 했을 때, 이 자전거의 속도가 1초에 얼마나 변했는지를 나타내는 값이 가속도 이다.

변하기 전의 속도를 V₁, 변환 후의 속도를 V₂

속도가 변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t라고 하면은 가속도(평균 가속도) a는 다음과 같이 구한다.

Vf가 V₂, Vi가 V₁이다.


구현해야할 부분

그러면 가속도 공식도 알아냈다.


현재 이부분에서 속도를 구했는데 시간은 (1초로 일정하게 잡는다고 하자)

그러면 1초동안 속도가 컷다가 -> 시간에 따라 줄어드는 방식으로 구현해야한다.

여기서 구한 최초의 속도값을

실제로 움직이는 부분에서 속도가 줄어들게 만들어야한다.

_getTargetSpeed부분을 시간이 갈 수록 줄이면 되는 말인데...

dt의 시간이 흘러갈 수록 속도가 줄어든다는 것이다.

가로가 시간축이고 기울기가 속도 변화량?이다.

0초~1초인데 1초일때 속도는 0이다. 처음 속도는 _getTargetSpeed이고

그러면 가속도는 0 - _getTargetSpeed / 1

현재 기울기는 -getTargetSpeed이다.

수학 공식으로 나타낸다면은 y = -getTargetSpeed x이다.

y = -Tx; => x에 값을 넣으면 해당 y값이 나오는데 이게 '속도'이다.

가속도 구현하기는 했는데

이런모습으로 속도가 줄어들지 않고

속도가 늘어난다..

=> 수정해야함.


  • 출처

https://boycoding.tistory.com/68

profile
https://cjbworld.tistory.com/ <- 이사중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