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장객체
out 내장객체를 활용해서 java에서도 html태그<>를 사용할 수 있게 했음
주로 JS
request 사용자의 요청정보가 들어있는 개체 (대표적으로 request.getParameter를 통해 데이터를 받아옴) 사용자측의 정보를 저장
page to page (요청단위) 한번 요청하면 사라짐
response 응답 : 서버측의 정보를 저장
sendRedirect로 다른 페이지로 이동 (GET) url에 어디로 가는지가 보여
<jsp:forward
대체하는것들 :
<a href=''></a>
location.href
window.open
history.go
<jsp:forward> 액션태그와 유사
: 데이터를 유지, URL 변경 xxx
데이터 유지 xxx, URL 변경 0(GET)
session
브라우저 단위로 저장되는 데이터 (브라우져 켜져 있으면 유지)
ex) 로그인, 장바구니, 광고
application은 서버 단위로 저장 되는 데이터
- 서버(톰캣)이 켜져있으면 살고 꺼지면 죽음
- 미니홈피 투데이 방문자수
- 쇼핑몰중에: 브라우져 껐다가 켰는데도 장바구니가 유지되는 (application을 쓴거임; 근데 보통 session으로 함: 보통 구매를 안하고 끄면 고객이 아닐테니까)
- application이 session보다 더 무겁고 유지비용이 많이 듬
- 티스토리 누적방문수 DB데이터 (서버 안타는이상 유지)
오늘 방문수 어제 방문수 (휘발성 데이터, 날짜 지나면 사라짐; 이런게 application)
★"중요포인트"★
면접관들이 왜 이거로 만들었어? 라고 100프로 물어봄
- 왜 ㅁㅁㅁ을 사용했나요?
- 왜 사용했는지를 잘 설명할수있으면 ㅇㅋ!!!
코드는 어차피 chatGPT가 다 해주고 부장님이 손 다 대줌
코딩 실력보다 이런거 설명 할 줄 아는게 훨씬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