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종류
private cloud
- 외부 노출 x
- 자체 사설 클라우드와 데이터센터를 가진다. (특정 조직을 위해 전용으로 구성된 클라우드 인프라)
- 맞춤형 보안, 통제
- 확장성, 유연성을 가지지만 퍼블릭보단 떨어짐
- Rackspace 등등
public cloud
- 공통된 데이터센터를 공유.
- 확장성, 유연성
- 온디맨드 -> 언제나 리소스 확장, 감소 가능
- MS Azure, Google Cloud, AWS 등등
hybrid cloud
- private + public
- 일부 서비스는 온프레미스 혹은 프라이빗 클라우드 (자체 인프라) + 클라우드 하이브리드
- 유연함, 효율성
클라우드 특징
- 온디맨드 -> 필요할 때 원하는 대로 바로바로 사용가능
기존 물리 서버에서 운영하던 방식과 매우 비교되는 핵심 특징.
물리 서버는 확장하기 위해서 용량에 맞는 장치를 주문해서 ~~ 설치 ~~~ 구축 이런식임.
- 광역 네트워크 접근 가능
- 보안, 프라이버시 우수
- 빠른 탄력성, 확장성
- 측정 가능한 서비스
클라우드 장점
- 하드웨서 소유 x
- 규모가 클수록 좋다.
- 용량을 예측할 필요가 없다.
- 확장성
- 유지보수 비용 x (운영비용,인력비 등등)
물리 서버와 비교해보면 된다.
클라우드의 유형
IaaS (Infrastructure, 서비스형 인프라)
- 클라우드 IT의 구성요소를 제공한다.
- 네트워킹,컴퓨팅,스토리지 등을 원시적인 형태로 제공한다.
- 높은 유연성을 가진다.
- AWS EC2 등등
- 기본 인프라 관리가 필요없다. 다 제공한다.
- 배포와 애플리케이션 관리에만 집중 가능하다.
- Elastic Beanstalk, Heroku 등등
SaaS (Software, 서비스형 소프트웨어)
- 서비스 제공 업체가 완전히 운영하고 관리하는것
- Gmail, Dropbox, Zoom 등등

해당 그림을 보면 각 클라우드 서비스 유형 별로 관리자가 어떤 부분을 운영해야 하는지 알 수 있다.
클라우드의 가격
클라우드에는 3가지의 기본가격이 있고 모두 종량 과금제(종량제)를 따르고 있다.
- 컴퓨팅 관련 서비스 -> 시간에 따라 지불
- 스토리지 -> 저장한 양 만큼 지불
- 네트워킹 (데이터전송) -> 클라우드에서 데이터가 나갈 때만 지불, 들어올 때는 무료
AWS의 Regions
Regions란?
리전 선택방법
-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나라의 정책도 따져봐야 한다.
- 지연시간 (사용자와 거리가 가까워야함. 멀면 딜레이 생길수도.)
- 모든 리전이 모든 서비스를 지원하지는 않는다.
- 리전마다 요금이 다르다.
AWS Regions의 가용영역

- 리전 별로 가용영역을 가진다. (min:2, avg:3, max:6)
- 예를 들어, 시드니 리전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실제로 각 영역에서 데이터센터가 어떻게 구성되어있는 지 우리는 알수없지만, 이 가용영역들은 서로 독립적인 형태로 서로 하나의 네트워킹을 구성하고 있다. 이는 재난 등의 상황을 대비하기 위해 이렇게 구성되어있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