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란? -> Elastic Block Store의 약자로써, 인스턴스가 실행중인 동안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뜻한다.
EC2 인스턴스를 종료 후 새로 생성 했을 때, EBS를 통해 새로운 EC2 인스턴스에 기존 데이터를 전달 가능하다.
EBS는 특정 가용역역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매달 30GB 까지 무료이며, gp2와 gp3를 범용으로 사용한다.
EC2 인스턴스 생성 시 EC2 인스턴스를 종료할 때 EBS를 삭제하는 옵션이 있다. 활성화, 비활성화를 통해서 통제 가능하다.
해당 이미지는 EBS Volume의 예시이다.
1. US-EAST-1A 영역을 살펴보면 2개의 EC2 인스턴스와 3개의 EBS를 확인 할 수 있다. 1개의 EBS는 1개의 EC2 인스턴스에만 연결이 가능하며, 1개의 EC2 인스턴스에는 여러개의 EBS 설정이 가능하다.
2. US-EAST-1B 영역을 살펴보면 EC2 인스턴스에 EBS 가 1대 1로 잘 연결되어있고, 나머지 1개의 EBS는 unattached 상태로 남아있음을 볼 수 있다. unattached 상태로 존재 가능하다.
스냅샷이란?
1. 내가 원하는 시점에 대한 백업이라고 보면된다.
2. 추후 EBS가 삭제되어도 이걸로 복구 가능하다.
3. 여러 가용영역과 리전 간 복제에도 쓸 수 있다.
해당 이미지는 US-EAST-1A의 가용역역에서 EBS 스토리지를 스냅샷을 통해 US-EAST-1B 가용영역으로 옮기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스냅샷을 이용한다면, EBS의 가용영역에 제한되는 특성을 극복 가능하다.
AMI 란? -> Amazon Machine Image의 약자로써, 사용자 지정 EC2 인스턴스라고 보면 된다.
AMI를 직접 커스텀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이다.
1. US-EAST-1A 영역에서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여 커스텀 AMI를 만든다.
2. US-EAST-1B 영역에서 만들어진 AMI를 이용하여 EC2 인스턴스를 생성한다.
기본적으로 커스텀 AMI를 만들 때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커스텀 AMI 셋팅이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EBS는 "제한된" 네트워크 드라이브이다. 그렇기 떄문에 고성능 하드웨어 디스크가 필요한 경우 EC2 Instance Store를 이용한다.
EFS 란? -> Elastic File System의 약자로, 관리형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을 뜻한다. EBS가 1개의 EC2 인스턴스에 대한 저장소라고 한다면, EFS는 네트워크에 대한 공유 저장소 같은 느낌이다.
해당 이미지는 EFS 서비스를 나타낸 것이다. 여러 가용영역에서 여러 개의 EC2 인스턴스와 연결되어서 파일을 관리하고 있음을 확인 가능하다.
EBS와 EFS 스토리지의 비교를 나타내는 자료이다. EBS를 활용한 스토리지는 스냅샷을 통해서 가용영역에서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보관한다. EFS는 여러개의 가용영역에 있는 EC2 인스턴스를 관리함으로써 EBS보다는 데이터 파일 관리 및 전송에 용이하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EBS보다 비싸긴하다.
EFS의 스토리지 클래스는 파일 액세스 빈도에 따라 비용 최적화 과정을 진행한다.
해당 이미지는 EFS 스토리지의 라이프사이클 정책을 나타내고 있다.
파일의 액세스 시점을 기반으로 관리 정책에 의하여 오랜 기간동안 액세스 되지 않은 파일은 EFS-IA 스토리지 클래스로 파일을 이동시켜 최적화를 진행한다.
AWS - EBS,EFS 등의 서비스에서의 책임, 시스템 장애의 책임을 가진다.
User - EBS,EFS 서비스를 활용한 백업, 스냅샷 등을 활용한 데이터 전송 절차에 대한 데이터 손실 등의 책임을 가진다.
FSx 란? -> AWS에서 타사의 고성능 파일 시스템을 얻는 관리형 서비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