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하기 위해 기본지식을 학습한다.AWS, Linux, Network클라우드 서비스에 내 프로젝트를 단순 배포하기 위해 환경을 구축한다.EC2 → Iaas(Infra as a service) 인프라 - 물리적 컴퓨터클라우드 서비스에 내 프로젝트 배포를
패킷의 여행 서킷 스위칭 선이 늘어나야 한다 패킷 스위칭 가, 다, 마, 나, 라, 바 순서로 보내짐 비용이 적게 든다. 재조립을 위해서는 헤더가 필요함 동시전송을 위해서는 패킷 분할이 필요함 수많은 컴퓨터를 구분하기 힘들기 때문에 유일한 값이
빈 컴퓨터(인프라)를 제공 받아서 운영체제, 톰캣,자바 등을 설치해서 쓰는 것원격 접속을 위해 22번 포트를 개방해줌로컬 컴퓨터에서 클라우드 컴퓨터에 원격 접속클라우드 컴퓨터는 방화벽이라는 것을 갖고 있음IP 주소:포트번호(22)을 통해 원격 접속을 함방화벽은 모든 포
공개 키 기반 암호화 방식A 열쇠 → 잠금 → 풀 수 있음B 열쇠 → 풀 수 있음 → 잠금데이터 암호화: 상대의 공개키로 잠금C가 비밀번호를 훔쳐서 폐기하고 다른 비밀번호를 넣고 B에게 보낼 수도 있음누가 보냈는지도 중요함데이터 전송 방법데이터를 수신자의 공개키로 잠근
고정 IP (엘라스틱 IP)5군데 → IP 5개 제공 안함이유: 모든 집에서 지속적으로 동시에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 (공유)유동 IP - 가정집탄력적(Elastic) IP프리티어: 탄력적 IP 하나 무료 제공http://43.202.12.249: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