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의 정의
- 보안을 요구하는 중요한 정보(비밀 정보)ㄹ,ㄹ 해독하기 어려운 값으로 변환하여 제 3자가 해당 내용을 파알할 수 없도록 하는 기술
- 암호기술의 안전성은 수학적인 원리에 기반하며, 보안에 있어서 중요한 정보를 직접적으로 보호하는 네트워크 보안의 핵심 기술
암호학이란?
- 비밀 정보인 평문 메시지를 암호문으로 변환하는 암호화 알고리즘과 암호문을 다시 평문으로 변환하는 복호화 알고리즘 그리고 이들을 활용한 다양한 네트워크 보안 기술과 응용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학문
암호학의 주요 개념
⭐️ 용어 정리
- 평문(Plaintext): 암호 기술을 통해 보호하고자 하는 원본 데이터
- 암호문(Ciphertext): 평문에 암호기술을 적용한 것
- 암호화(Encryption): 평문에 암호기술을 적용하여 암호문으로 변환하는 과정
- 복호화(Decryption): 암호문을 다시 평문으로 복원하는 과정
단, 해독은 합법적으로 키를 보유하지 않은 사람이 복호화 하는 것을 포함하는 보다 포괄적인 개념
- 키(Key): 평문을 암호화하거나 암호문을 복호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사전에 약속된 값(value)
- 암호키(Encryption key): 평문을 암호화할 때 사용하는 값
- 복호키(Decryption key): 암호문을 평문으로 복원할 때 사용하는 값
정보의 송신과 수신
- 송신자: 비밀 정보를 생성해서 수신자측으로 전송하는 사람
- 수신자: 비밀 정보를 수신자측으로부터 전송받는 사람
- 해독자: 송신자에서 수진자로 전송되는 비밀 정보를 (합법적 혹은 불법적으로) 취득하는 사람
- 해당 비밀 정보를 불법적으로 취득하는 사람 -> 도청자

암호 시스템의 분류
대칭키 암호
- 암/복호화에 같은 암호키를 사용하는 알고리즘

비대칭키 암호
- 암/복호화에 서로 다른 키를 사용하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에 사용되는 공개키와 복호화에 사용되는 개인키로 구성
-> 공개키 암호

⭐️ 암호의 기능
- 기밀성(Confidentiality): 허락되지 않은 사용자 또는 객체가 정보의 내용을 알 수 없도록 하는 기능
- 무결성(Integrity): 허락되지 않은 사용자 또는 객체가 내용을 함부로 수정할 수 없도록 하는 기능
- 인증(Athentication): 사용자 또는 객체의 디지털 정체성을 식별하는 기능
- 부인 봉쇄(Not-requdiation): 정보를 보낸 사람이 나중에 정보를 보냈따는 것을 부인하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