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Route 53이란?

public host zone과 private host zone이 존재한다.2) Route 53 도메인 설정하기
✔ AWS 내부에서 도메인을 설정하는 경우 
Route 53에 접속해 사용 가능한 도메인을 검색한다. 해당 위치에 도메인으로 사용하고 싶은 키워드만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는 도메인 주소가 뜨게 된다.
✔ AWS 외부에서 도메인을 설정하는 경우

Route 53에 접속해 호스팅 영역을 선택하고 호스팅 영역을 생성한다.
호스팅 영역으로 들어가면 생성된 도메인이 뜨게 되는데 그때 외부 업체에서 DNS를 설정하는 곳에 값/트래픽 라우터 대상의 값을 입력해 주면 된다.관계형 데이터베이스 (RDBMS)를 지원하는 서비스이다.RDS와 관련해서는 추가적으로 AWS 공식 문서 보면서 공부한 부분을 정리한 내용과 데이터베이스 생성 실습 내용을 포스팅 하였다.NoSQL의 종류 중 하나로 Mongo DB 기반의 문서 전용(Document) 데이터베이스이다.Amazon DocumentDB에서는 스토리지 및 컴퓨팅이 분리돼서 각각 독립적으로 조정이 가능하다.Amazon DocumentDB는 99.99% 가용성을 위해 설계되었으며 6 개의 데이터 복사본을 3 개의 AWS AZ에 나눠서 복제한다.
Document 지향 데이터베이스이다.스키마 설계는 어렵지만 유연해서 애플리케이션의 요구 사항에 맞게 데이터를 수용할 수 있다.스케일 아웃(Scale-Out)이 쉽다.RDBMS의 Rows의 개념이 Documents가 되며 Tables의 개념이 Collections이 된다.Key-Value 기반의 NoSQL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이다.Auto-Scaling을 제공한다.AWS Management Console을 사용해 리소스 사용률 및 성능 지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Document DB와 Dynamo DB
1) 공통점
NoSQL DataBaseAWS Database Migration Service를 통해 데이터 마이그레이션을 위한 이식성을 제공AWS Key Management Service를 통해 저장 데이터 암호화와 보안 기능을 제공관리 API 호출과CloudFormation에 대한CloudTrail및VPC Flow Logs로 감사 기능 제공
2) 차이점Dynamo DB는 모든 리전에서 사용 가능하지만Document DB는 리전 제한이 있다.Dynamo DB는Key-Values기반이고Document DB는문서(Documents)기반이다.Dynamo DB는 하이퍼 스케일을 제공한다.Document DB는 최대 64TB까지 쉬운 확장이 가능하다.Dynamo DB는IAM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고,Document DB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가 생성하고 관리하며 자격증명이DB에 직접 저장되어AWS가 관여하지 않는다.Dynamo DB는서버리스 서비스로 사용량에 따라 요금이 책정되고 비용을 예상하기 어렵다. 또한 스토리지를 25GB까지 무료로 제공하지만Document DB는 무료로 제공되는 스토리지가 없고 노드 또는 EC2 인스턴스 당 비용을 지불하므로 일부 인스턴스만 사용한다 해도 전체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Dynamo DB는 사용자가 백업을 진행하고, 데이터에서 지원하는 대로 필요할 때 데이터 복구가 가능하다.Document DB는 데이터베이스 자체에서 일일 백업을 관리하여 필요할 때 복구되며 모든 유형의 백업이 지원된다.
💻 [AWS] AWS Cerification Manager 및 인증서 신규 발급 방법
따로 포스팅해 두었다.
SSL 인증서
공개 키와개인 키라는 키 쌍을 가진다.- 키들이 함께 작용해서 암호화된 연결을 수립한다.
- 주체라는 것을 포함하고 이는 인증서/웹사이트 소유자 ID이다.
- 인증서를 얻으려면 서버에서
인증서 서명 요청 (CSR)을 생성해야 한다. 이 과정을 통해 서버에서 공개 키와 개인 키를 생성한다.- SSL 인증서 발급자에게 보내는 CSR 데이터 파일에는 공개 키가 포함된다.
Amazon CloudFront는 뛰어난 성능, 보안 및 개발자 편의를 위해 구축된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 서비스이다.도메인 생성, 인증서 발급 후 진행한다.📌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
- 지리적인 제약 없이 전 세계 사용자에게 빠르고 안전하게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는 콘텐츠 전송 기술
- 데이터 사용량이 많은 애플리케이션의 웹 페이지 로드 속도를 높이는 상호 연결된 서버 네트워크
정적 콘텐츠와동적 콘텐츠캐싱,동적 가속,엣지 로직을 계산

로드 밸런싱은 지원하는 리소스 풀 전체에 네트워크 트래픽을 균등하게 배포하는 방법이다.대상 그룹에 대상을 등록해야 한다.로드 밸런서는 대상 그룹에 대해 지정한 프로토콜과 포트 번호를 사용해 등록된 대상으로 요청을 전송하거나 대상 그룹에 각 대상을 등록할 때 포트를 재정의할 수 있다.로드 밸런서는 서버에 가해지는 부하(=로드)를 분산(=밸런싱)해 주는 장치 또는 기술을 말한다. L4 로드밸런서와 L7 로드 밸런서가 존재한다. 작성을 하다 보니 내용이 많이 길어져 따로 포스팅 해 두었다.
💻 [AWS] VPC 개념, 기능 및 생성
1. GSLB (Global Server Load Balancing)란?
- 특정 지역에 집중되는 트래픽을 분산하는
DNS기반의로드 밸런싱이다.- 만약 글로벌 특정 지역에 트래픽이 갑자기 증가하는 경우
DNS를 통해 인접 지역으로 네트워크 트래픽을 분산한다.- 재해가 발생할 경우
GSLB는 서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때문에 실패한 서버의 IP는 응답에서 제외하고 유저는 서비스를 계속 사용할 수 있게 한다.
2. L4 (Layer 4)란?
- 다음과 같이
OSI 7 Layers모델을 기준으로 봤을 때Layer 4는전송 계층(Trasport Layer)을 의미한다.- TCP/UDP 프로토콜을 이용해 포트를 열어 응용 프로그램들이 전송을 할 수 있게 해 주는 통신 활성화를 위한 계층이다.
- 만약에 데이터가 오면 4 계층에서는 이 데이터를 하나로 합쳐 5 계층에 던져 주게 된다. 즉, 패킷을 생성하고 전송한다.
- 물리적 계층에 속한다.
End-to-End 통신을 다루는 최하위 계층으로End-to-End의 사용자들이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해 준다.- 주로 오류 검출 및 복구와 흐름 제어, 중복 검사 등을 시행한다.
3. CIDR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사이더)
- 클래스가 없는 도메인간 라우팅 기법
- 빨간색 네모 부분이
CIDR 부분이 된다.- 어느 대역까지
네트워크 영역으로 나누고 나머지호스트 영역을 IP로 사용하게 할 건지에 대한 표기법이다.- IPv4 주소가 4 개의 옥텟(Octet)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렇기 때문에
CIDR는 0 ~ 32까지 총 32 비트까지 사용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