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IBM
https://www.youtube.com/watch?v=FZR0rG3HKIk
정의
소프트웨어 기반 또는 가상으로 연산, 저장, 네트워킹, 서버 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만드는 것이다
가상화를 실현 가능하게 하는 것이 Hypervisor이다.
Hypervisor
물리적인 서버 또는 호스트 위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 Type1 HV(Hypervisor / bare metal Hypervisor)
- 하드웨어 위에 직접 설치된다.
- 가장 많이 사용되는 Hypervisor 타입이다.
- 가장 안전하고 지연시간이 적다
예) VMware, Hyper-V(MS), KVM
- Type2 HV(Hosted)
- 하드웨어와 Hypervisor 사이에 Host OS가 존재한다.
- end-user를 위해 사용한다. (접근성이 높다는 뜻인 것 같다.)
- Type1보다 지연시간이 매우 높다.
예) Oracle VirtualBox, VMware Workstation

KVM 반가상화가 Hypervisor
VM
실제 물리적인 컴퓨터처럼 동작하고, Hypervisor 위에서 여러가지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물리적인 서버로부터 할당받은 메모리를 Hypervisor가 관리한다.
VM은 다른 Hypervisor로 이동이 가능한데, 아예 다른 (물리적인)컴퓨터로도 이동이 가능하다.
장점
- 비용 절약
- 쉽게 다른 환경에서 테스트가 가능하다.(개발 용이)
수업 내용
물리적인 컴퓨터와 논리적인 컴퓨터를 분리한 것
- Hypervisor : OS와 Hardware 사이에 있음(?) / Cloud Server
- 임베디드 시스템 쪽에서는 이 방법을 많이 사용
- Platform-level Virtualization Support
- 반가상화 기술
- 하나의 OS 레이어 위에 Platform이 여러개 올라감
- 어차피 운영체제는 똑같은데 왜 운영체제를 여러개 올림?
- 이를 활용한 기술이 Container // Dock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