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ON

Sshu Sshu·2022년 7월 15일
0

JS

목록 보기
4/6

HTTP : Hypertext Transfer Protocal

인터넷에서, 웹 서버와 사용자의 인터넷 브라우저 사이에 문서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신 규약

(https : secure 방식은 모든 통신내용을 암호화하기 때문에 보안에 유리)

💡 인터넷 주소를 지정할 때 '[http://www](http://www/)....'와 같이 하는 것은 www로 시작되는 인터넷 주소에서 하이퍼텍스트 문서의 교환을 http 통신규약으로 처리하라는 뜻이다.

클라이언트와 서버사이에 정보를 주고 받는 방법

| AJAX

비동기식 자바스크립트 XML(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의 약자.

하이퍼텍스트 표기언어(HTML)만으로 어려운 다양한 작업을 웹페이지에서 구현해 이용자가 웹페이지와 자유롭게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비슷한 기능의 액티브X나 플래시 등에 비해 가볍고 속도가 빨라 차세대 웹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브라우저 API fetch() 나 xmlhttprequest 사용해를 이용해 정보를 받아올 수 있음.

요즘은 용량이 너무 큰 xml 대신 json 데이터 포맷을 많이 사용

| JSON (javascript object notation)

브라우저 뿐만아니라 모바일에서도 가능하고 파일을 저장하는 목적으로도 사용.

  • 데이터를 주고받는 가장 심플한 포멧
  • 가벼운 텍스트 구조
  • 읽기쉬움
  • 키와 밸류의 쌍으로 이루어짐
  • 직렬화되있음
  • 언어나 플랫폼에 상관없이 사용가능
💡 Object to JSON : JSON.stringify (any) → string으로 변환됨 💡 JSON to Object : JSON.parse (string) → any로 변환됨

유용한 웹사이트

  • json diff

http://www.jsondiff.com/

  • json beautifier

https://jsonbeautifier.org/

  • json parser

http://json.parser.online.fr/

  • json validator

https://jsonlint.com/

profile
Front-End Develop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