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zerocho.com/https://blog.cmiscm.com/https://design.google/https://airbnb.design/https://medium.com/designatmetaht
웹 사용률을 이해하고 최적화하기 위해 웹 데이터를 측정하고 수집하고 분석하고 보고하는 것웹 추적 은 웹사이트 운영자 및 제3자가 World Wide Web 에서 방문자의 활동에 대한 정보를 수집, 저장 및 공유 하는 관행 입니다. 사용자 행동의 분석은 운영자가 그들의
월드 와이드 웹(www)을 탐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조직적, 자동화된 프로그램홈페이지를 돌아다니며 페이지의 요약정보와 주소를 DB화 저장 => 데이터의 최신 상태 유지방문한 사이트의 모든 페이지의 복사본을 생성복사본을 보다 빠른 검색을 위해 색인화(Indexing)링크
검색 엔진 최적화SEO (Search Engine Optimization)검색엔진에서 검색이 잘 되게 하는 방법상위 검색 결과 노출 여부: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검색엔진의 원리(알고리즘)를 알면 검색엔진 최적화에 도움검색 사이트에 키워드 입력 검색엔진이 수
https://www.w3.org/WAI/WCAG21/quickref/웹 사이트 접근성 평가하기스크린 리더 : Screen Reader접근성 검사 사이트 : W3C HTML Validator (The W3C Markup Validation Service)web
원문 : https://www.w3.org/WAI/tips/developing/설명이 필요하지 않은 이미지는 alt="" 비워둔다.https://www.w3.org/International/questions/qa-html-language-declara
견고성은 사용자가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기술에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함을 의미 한다.마크업 언어의 요소는 열고 닫음, 중첩 관계 및 속성 선언에 오류가 없어야 한다.(1) 요소의 열고 닫음 일치 : 마크업 언어로 작성된 콘텐츠는 표준에서 특별히 정한 경우를 제외하고
이해의 용이성은 사용자가 장애 유무 등에 관계없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주로 사용하는 언어를 명시해야 한다.웹 브라우저는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텍스트 콘텐츠의 언어 정보를 바탕으로 텍스트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보
운용의 용이성은 사용자가 장애 유무 등에 관계없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기능들을 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모든 기능은 키보드만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1) 키보드 인터페이스와 기능 : 콘텐츠의 모든 기능은 키보드로 사용이 가능하여야 한다.
인식의 용이성은 사용자가 장애 유무 등에 관계없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콘 텐츠를 동등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텍스트 아닌 콘텐츠는 그 의미나 용도를 인식할 수 있도록 대체 텍스트를 제공해야 한다.(1)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경우
본 표준은 ‘W3C 웹 콘텐 츠 접근성 가이드라인 2.0(2008.12.)’의 12 개 지침과 이의 준수를 위한 성공 기준의 중요도 A 항목을 중심으로 국내 여건을 고려하여 개발하였다.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1건너뛰기 링크반복 영역의 순차적인 내비게이션을 생
KWCAG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Korean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 웹의 힘은 보편성에 있다. 장애와 상관없이 모두가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팀 버너스리 (W3C 디렉터 및 World Wide Web의 창시
캐시 기본 동작캐시가 없을 때데이터가 변경되지 않아도 계속 네트워크를 통해서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야 한다.인터넷 네트워크는 매우 느리고 비싸다.브라우저 로딩 속도가 느리다. ⇒ 느린 사용자 경험캐시 적용캐시 덕분에 캐시 가능 시간동안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header-field = field-name ":" OWS field-value OWS (OWS:띄어쓰기 허용)field-name은 대소문자 구문 없음HTTP 전송에 필요한 모든 부가정보메시지 바디의 내용, 메시지 바디의 크기, 압축, 인증, 요청 클라이언트, 서버
HTTP 상태코드 소개상태 코드클라이언트가 보낸 요청의 처리 상태를 응답에서 알려주는 기능1xx (Informational): 요청이 수신되어 처리중2xx (Successful): 요청 정상 처리3xx (Redirection): 요청을 완료하려면 추가 행동이 필요4xx
데이터 전달 방식 2가지쿼리 파라미터를 통한 데이터 전송GET - 주로 정렬 필터(검색어)메시지 바디를 통한 데이터 전송POST, PUT, PATCH - 회원 가입, 상품 주문, 리소스 등록, 리소스 변경전송 4가지 예시정적 데이터 조회 이미지, 정적 텍스트 문서동적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리소스를 식별해서 설계해야 한다.잘못된 예)잘된 예) » 리소스 식별, URI 계층 구조 활용리소스와 행위를 분리하여 행위는 메서드에게 위임GET: 리소스 조회POST: 요청 데이터 처리, 주로 등록에 사용P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