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ntos 세 번째 프로젝트: Virtual Memory
Pintos 두 번째 프로젝트는 User Program이다. 이전까지 Pintos에서의 모든 코드는 OS kernel의 일부였다. 이 말인 즉 system의 중요한 자원에 접근할 때 모든 privilege를 가진 채 프로그램이 실행되었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OS 위에서
Context Switching(문맥 전환)은 현재 진행하고 있는 Task(Process, Thread)의 상태를 저장하고 다음 진행할 Task의 상태 값을 읽어 복원(restore)하는 과정을 의미한다.CPU가 해당 Process(or Thread)를 실행하기 위해
Pintos Project 1 : Threads - WIL(Weekly I Learned)
가상화 기술이 나오기 전한대의 서버를 하나의 용도로만 사용 → 남는 서버 공간 그대로 방치하나의 서버에 하나의 OS, 하나의 Program만을 운영 → 안정적 But 비효율적 하이퍼바이저 기반의 가상화 출현논리적으로 공간을 분할하여 VM이라는 독립적인 가상 환경의
합성곱 신경망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고 기본적인 Convolution Block을 구현합니다. (reference : Deep Learning from scratch)
Degrees of freedom : the number of independent values (pieces of information), which were included into calculation of an estimate→ 자유도의 정의는 estimate(
$$y = \\beta_0 + \\beta_1X + \\epsilon$$Simple linear 모델은 위의 식과 같은 선형 관계를 가정함으로써 만들어진다.random variable $\\epsilon$은 mean zero이며 X와 독립이고, $\\epsilon$
우리가 어떠한 작업(task)을 수행 하기 위해 이에 필요한 코드(a set of instructions)를 작성하고 이 코드를 실행 가능한 파일로 만드는 작업을 거친다. 이 때 만들어진 파일을 프로그램이라고 하는데, 프로그램은 그 자체로는 아무런 기능도 하지 않고 메
also known as a command-line interpreter or command-line interface(CLI)User와 kernel 사이의 매개체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 즉, Shell은 User로부터 명령을 받아 그것을 processing하기 위해
WEEK 05(3/31~4/6)과 WEEK 06(4/7~4/13)가 순식간에 지나갔다. 시간을 내어 블로그 작성과 회고를 빠짐없이 작성하고 싶었지만 당면한 과제에 대한 압박과 귀찮음에 못견뎌 WEEK 07 발제가 끝나고 회고를 쓴다..! WEEK 05는 Red-Bla
WEEK 04(3/23 ~ 3/30)는 진작 끝난 4월 4일, 늦게나마 WEEK 04 회고를 적어본다. 알고리즘 마지막 주의 주제는 마지막 답게 DP(Dynamic Programming), 그리디 알고리즘이었다. 내주신 문제들도 지난 주들에 비해 적었고, 한 문제 한
3주차(3/16 ~ 3/23)가 끝났다. 알고리즘 3주차의 주제는 그래프, BFS, DFS, 위상정렬이다. 코테를 공부하지 않았어도 자주 들어본 BFS, DFS를 드디어 배운다는 생각에 조금은 설레고 무서웠다. 그래프가 시험에 빈출되는 유형이고 구현 문제가 많다고 들어
1904번: 01타일길이 2인 ‘00’타일과 길이가 1인 ‘1’ 타일을 이용해 만들 수 있는 타일의 경우의 수를 구한다.N = 1일 때 : {1}N = 2일 때 : {00, 11}N = 3일 때 : {100, 111, 001}N = 4일 때 : {0011, 0000,
n x n 형태의 맵에서 각 원소값은 높이정보 h를 의미한다.이때 비가 내리면 강수 높이보다 같거나 낮은 위치에 있는 지역(rain ≥ h) 은물에 잠겨 회색으로 표시된다. 물에 잠기지 않는 안전한 영역은 위/아래/오른쪽/왼쪽으로 인접해있으며 그 크기가 최대인 영역을
1916번: 최소비용 구하기N개의 도시(vertices), M개의 버스(edges) 및 비용(costs)출발 도시(start)에서 도착 도시(end)까지 가는데 드는 최소 비용 구하기최소비용 구하는 문제이므로 큐를 이용하여 BFS로 탐색하면서 cost를 갱신하고, 도착
20040번: 사이클 게임\*\*무방향 그래프에서 간선이 계속 주어지고, 사이클이 발생하면 해당 count를 출력하는 문제\*\*처음에는 분리집합 문제로 이해했고 Union, Find를 사용하면 간단히 풀릴 것으로 생각했다.어제 공부했던 MST 알고리즘에서 작성했던 코
11724번: 연결 요소의 개수방향 없는 그래프가 주어졌을 때, 연결 요소(Connected Component)의 개수를 구하는 문제이다.연결 요소란, 노드끼리 연결되어 있는 묶음의 개수이다.아래와 같은 경우 V1~V5, V7~V9, V10~V12가 서로 연결되어있다.
1260번: DFS와 BFS그래프의 탐색 방법인 DFS와 BFS에 대해 묻는 문제이다.처음에는 dictionary에 주어진 간선만 넣었는데 잘못 생각했었다. 2→5 간선이 주어진다고 하면 graph\[2] = 5 뿐 아니라 graph\[5] = 2 5→2에 대한 간선도
3/9(목) ~ 3/16(목) WEEK 02가 끝났다. WEEK 02는 알고리즘 두번째 주간으로, 주요 주제는 분할정복, 이분탐색, 스택, 큐, 우선순위 큐였다. 매 주 조가 바뀌고, 이에 따라 자리도 조원도 바뀌는데 이 방식이 나는 매우 좋았다. 다양한 사람과 협업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