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목표🔥
모든 요소는 기본적으로 가지는 display값이 있다.
display 속성으로 해당 요소의 렌더링 박스의 유형을 변경하고 렌더링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 display
- 어떤 요소의 렌더링 박스 유형을 결정하는 속성이다.
display: value;
📒 속성값
none
: 요소가 렌더링 되지 않음 (display 되지 않는다.)
inline
: inline level 요소처럼 렌더링
block
:block level 요소처럼 렌더링
inline-block
: inline level 요소처럼 렌더링(배치)되지만 block level의 성질을 가짐
※ height 나 width 등과 같은 박스모델 속성을 적용할 수 있다
📖 블록 요소
- 전후 줄바꿈이 들어가 다른 엘리먼트들을 다른 줄로 밀어내고 사용가능한 최대 너비를 가진다.
- 한 줄에 하나의 블럭요소만 위치할 수 있다.
🔸예시 : <div>
, <h1>
, <p>
🔹크기 지정
- width, height로 크기를 지정할 수 있음
- padding, margin으로 상하좌우 여백을 지정할 수 있음
🔖 블록요소는 너비를 아무리 작게 설정해도 가로 영역을 모두 차지하기 때문에 다른 요소가 옆으로 올 수 없다.
📖 인라인 요소
- 전후 줄바꿈없이 한 줄에 다른 엘리먼트들과 나란히 배치된다.
- 너비와 높이를 내부 컨텐츠 크기만큼 설정된다.
🔸예시 : <span>
, <img>
🔹크기 지정
- width, height로 크기를 지정할 수 없음
- padding, margin으로 좌우에만 여백을 지정할 수 있음 (위, 아래는 안됨)
📖 인라인 블록 요소
- 인라인 요소처럼 전후 줄바꿈없이 한 줄에 다른 엘리먼트들과 나란히 배치되면서 크기조정과 여백 조정이 가능하다.
- 기본 동작은 인라인 요소처럼 너비와 높이가 내부 컨텐츠크기만큼 설정된다.
- 이후 블록요소처럼 크기와 여백 지정을 할 수 있다.
🔸사용방법: css의 {display: "inline-block";}
으로 스타일을 적용해야 함
🔹크기지정
- 블록 요소처럼 width와 height로 너비와 높이를 설정할 수 있음
- 블록 요소처럼 padding과 margin으로 상하좌우 여백을 지정할 수 있음
😎오늘의 느낀 점😎
웹프로그래밍 (25) vertical-align에서 인라인, 블록, 인라인 블록레벨을 다룬적이있는데 다시 한번 이 부분이 나와서 반가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