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dth의 속성은 요소의 가로 크기를 정의하는 데 사용한다.
추가로 부모와 자식요소의 width속성 상속에 대해서 알아보자.
height는 content영역의 높이를 지정하는데 사용한다.
%값 지정의 경우 widthd의 동작방식과 다르므로 이를 유의하자.
auto
: 기본 값으로 적용된다. 브라우저가 자동으로 계산해서 적용한다.length
: 절댓값으로 px,em등의 값을 가질 수 있다.percentage
: 컨테이닝 블록너비의 백분율이다. min-content
: 최소한의 컨텐츠 크기 max-content
: 최대한의 컨텐츠 크기fit-content
: 사용가능한 범위에서 가장 큰 크기(max-content
대신 쓸 수 있다.)🔥 margin이 설정된 요소를 대상으로 width: 100%을 설정하면 자식요소가 부모요소를 벗어나게 된다.
🤔왜그럴까❓
🔥컨테이닝 블록너비값은 무엇일까
👉 부모가 인라인 레벨 요소일 때, 자식(블록 요소)이 width 값에 %를 가지면, 가장 가까운 블록 레벨인 조상의 width를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만일 최상단까지 블록 레벨 요소가 없으면 body를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auto
: 기본설정값이며, 브라우저가 자동으로 계신해서 적용한다. (기본적으로 컨텐츠 영역의 내용만큼 높이를 가진다.)lenght
: 절댓값으로 단위를 사용해 지정한다. (px,em)%
: 컨테이닝 요소의 높이를 기준으로 백분율로 지정된다.저번 글에서 정리했던 부분 중 헷갈리는걸 추가로 정리해봤고, 박스 모델에 관한 내용을 끝냈다.
(물론 심화과정은 못했겠지만..)
남은 방학동안 꾸준히 열심히 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