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프로젝트 만들기(1)

코린이서현이·2024년 1월 29일
0

의존성 주입

  • Spring Boot DevTools
  • Lombok : Getter,Setter
  • Spring Data JPA
  • MySQL Driver
  • Spring Security
  • Spring Web : 어노테이션... 톰캣을 가지고 있다.
        <!-- 시큐리티 태그 라이브러리 -->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security</groupId>
          <artifactId>spring-security-taglibs</artifactId>
        </dependency>

        <!-- JSP 템플릿 엔진 -->
        <dependency>
          <groupId>org.apache.tomcat.embed</groupId>
          <artifactId>tomcat-embed-jasper</artifactId>
        </dependency>
        
		<!-- https://mvnrepository.com/artifact/javax.servlet/servlet-api -->
        //타임리프대신
		<dependency>
			<groupId>javax.servlet</groupId>
			<artifactId>servlet-api</artifactId>
			<version>2.5</version>
			<scope>provided</scope>

패키지는 어디에?


-com.jsh.blog아래에!! 스프링이 관리하도록 하는듯?

Git

snapShot 으로 기록

HTTP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요청방법 4가지

  • get : 데이터를 주세여 -> select
  • post : 내가 보내는 데이터를 추가해주세여 -> Insert
  • delete : 데이터를 수정해줘! -> update
  • put : 데이터를 삭제해줘 -> Delate

stateless 와 stateful

  • stateless : HTTP , 인증을 계속해야한다...
  • stateful : 연결을 지속 & 증명을 다시 하지 않아도 됨.

stateless에서는 인증을 어떻게 할 것인가가 중요하다고한다...

🤔 데이터를 주고 받아야한다?

HTTP의 헤더와 바디

헤더에는 바디에 들어갈 데이터의 미리보기정도...?
바디에는 실제 파일

HTTP 통신은 패킷 스위칭으로

  • 패킷 스위칭 : 패킷으로 데이터를 쪼개고 감싸서, 패킷은 보내는 곳과 순서가 있어야한다. 이런 정보를 헤더로, 데이터는 바디로
  • 서킷 스위칭 : 속도는 빠르고 비용 비싸다.

HTTP는 헤더와 바디를 가져야한다. 적는 방식이 MINE 타입

type/subtype

보러가기

실습


응답 상태 : 200

응답 상태 : 405

405 Method Not Allowed

인터넷 브라우저 요청은 무조건 get만 가능

profile
24년도까지 프로젝트 두개를 마치고 25년에는 개발 팀장을 할 수 있는 실력이 되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