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은 "파이썬 알고리즘 인터뷰"를 보고 정리했으며, 스터디를 진행하며 정리하는 내용이다.리트코드에서 코드를 제출할 때는 무조건 class Solution: 과 들여쓰기를 한 후 내가 작성한 코드를 써 제출해야한다.
"파이썬의 정신"을 살려 공부해보자.파이썬은 한줄씩 읽어가는 "인터프리터 방식"이면서, 멀티 패러다임을 지원하는 언어다.파이썬으로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함수형 프로그래밍, 절차적 프로그래밍 모두 작성할 수 있다.더 자세한 내용은 다른 글들을 참조해보자.파이썬의 정신에
파이썬에는 long이 없이 int형만 존재하며 임의정밀도만 지원한다.따라서 파이썬의 숫자자료형에는 한계가 없다👍 임의정밀도는 무제한 자릿수를 제공하지만,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논리자료형인 Ture나 False는 사실 정수값 1(True), 0(False)을 가
🤗 들어가면서 > 이전 정리 글 파이썬의 리스트
코딩 테스트에서 쓰일 딕셔너리의 주요메서드와 시간복잡도를 배워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