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 카드는 정수 하나가 적혀져 있는 카드이다. 상근이는 숫자 카드 N개를 가지고 있다. 정수 M개가 주어졌을 때, 이 수가 적혀있는 숫자 카드를 상근이가 몇 개 가지고 있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첫째 줄에 상근이가 가지고 있는 숫자 카드의 개수 N(1 ≤ N ≤ 5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숫자 카드에 적혀있는 정수가 주어진다. 숫자 카드에 적혀있는 수는 -10,000,000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00보다 작거나 같다.
셋째 줄에는 M(1 ≤ M ≤ 500,000)이 주어진다. 넷째 줄에는 상근이가 몇 개 가지고 있는 숫자 카드인지 구해야 할 M개의 정수가 주어지며, 이 수는 공백으로 구분되어져 있다. 이 수도 -10,000,000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00보다 작거나 같다.
10
6 3 2 10 10 10 -10 -10 7 3
8
10 9 -5 2 3 4 5 -10
첫째 줄에 입력으로 주어진 M개의 수에 대해서, 각 수가 적힌 숫자 카드를 상근이가 몇 개 가지고 있는지를 공백으로 구분해 출력한다.
3 0 0 1 2 0 0 2
처음에는 파이썬의 리스트 내 count
함수를 사용했다. count
함수는 요소의 개수를 반환해줌. 그러나 시간을 짧게 써야하기 때문에 이런 방식으로 풀면 시간 초과가 났다.
단순 리스트로 구현을 했다.
그런데 리스트는 인덱스가 없이 요소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순환을 해야하기 때문에 O(n)의 시간복잡도를 가진다.
따라서 인덱스를 몰라도 요소에 접근하는데 O(1) 의 시간복잡도를 가지는 딕셔너리를 사용하기로 했다. 탐색에 상수시간이 걸리는 건 해시 테이블 뿐이다.
자료구조 | 접근 | 탐색 | 삽입 | 삭제 |
---|---|---|---|---|
배열 | O(1) | O(n) | O(n) | O(n) |
스택 | O(n) | O(n) | O(1) | O(1) |
큐 | O(n) | O(n) | O(1) | O(1) |
링크드 리스트 | O(n) | O(n) | O(1) | O(1) |
해시테이블 | N/A | O(1) | O(1) | O(1) |
이진 탐색 트리 | O(log n) | O(log n) | O(log n) | O(log n) |
최악의 경우
자료구조 | 접근 | 탐색 | 삽입 | 삭제 |
---|---|---|---|---|
해시테이블 | N/A | O(n) | O(n) | O(n) |
이진 탐색 트리 | O(log n) | O(n) | O(n) | O(n) |
import sys
n1 = int(input())
n1_list = [int(i) for i in sys.stdin.readline().strip().split(" ")]
n2 = int(input())
n2_list = [int(i) for i in sys.stdin.readline().strip().split(" ")]
result = []
for value in n2_list:
result.append(str(n1_list.count(value)))
str =' '.join(result)
print(str)
import sys
n1 = int(input())
n1_list = [int(i) for i in sys.stdin.readline().strip().split(" ")]
n2 = int(input())
n2_list = [int(i) for i in sys.stdin.readline().strip().split(" ")]
temp = {}
for i in n1_list:
if i in temp:
temp[i] += 1
else:
temp[i] = 1
result = []
for value in n2_list:
result.append(str(temp.get(value,0)))
str =' '.join(result)
print(str)
파이썬의 Counter? → 알아보러가자!!
from collections import Counter
N = int(input())
A = list(map(int,input().split()))
M = int(input())
B = list(map(int,input().split()))
A_Cnt = Counter(A)
print(*[A_Cnt[b] for b in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