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센터/클라우드(Data Center/Cloud)
1. 데이터 센터(Data Center)
- 물리적인 시설로, 서버·스토리지·네트워크 장비 등을 모아서 운영하는 곳
- 회사가 직접 구축하거나, 전문 데이터 센터 업체의 IDC(Internet Data Center)를 이용함
- 작은 회사는 LG IDC, KT IDC 등에 서버를 맡겨 서버를 구축함
1-2. 데이터 센터 구성요소
- 서버: 서비스 제공을 위한 컴퓨팅 장비
- 스토리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비 (NAS, SAN 등)
- 네트워크 장비: 스위치, 라우터, 방화벽 등
- 전원 공급 장치: UPS, 발전기 등 이중화된 전력 시스템
- 냉각 시스템: 장비에서 발생하는 열을 식히기 위한 냉방 장치
- 보안 시스템: 출입 통제, CCTV, 방화 시스템
1-3. 데이터 센터 장점
- 보안과 물리적 제어가 쉬움 (직접 관리 가능)
- 고정된 예산으로 안정적인 성능 유지
- 초반 구축에 비싸지만 구축 했을 때, 고정된 예산으로 안정적으로 성능이 유지가 가능함
1-4. 데이터 센터 단점
- 초기 구축 비용과 유지보수 비용이 큼
- 유연한 확장 어려움 (서버 추가에 시간과 자원 필요)
- 재해 복구, 백업, 이중화 등의 대비가 복잡함
2. 클라우드 (Cloud Infrastructure)
- 인터넷 기반으로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을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가상화된 환경
- EX. AWS, Azure, GCP 등이 있음
2-2. 클라우드 종류
-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가상 서버, 스토리지 등 인프라를 빌려서 사용 (ex. AWS EC2, S3)
- PaaS (Platform as a Service): 앱 개발·운영을 위한 플랫폼 제공 (ex. Heroku, Google App Engine)
- SaaS (Software as a Service): 소프트웨어를 웹 기반으로 제공 (ex. Gmail, Office365)
2-3. 클라우드 특징
- 온디맨드(On-Demand): 필요한 만큼만 사용 가능
- 유연한 확장성: 리소스를 쉽게 늘리거나 줄일 수 있음
- 글로벌 리전/가용 영역(Availability Zone): 재해 대비와 분산 처리에 용이
- 자동화된 관리/모니터링: 인프라 운영 자동화 도구 제공 (ex. CloudWatch)
2-4. 클라우드 장점
- 초기 투자 비용 없음 (Pay-as-you-go)
- 빠른 배포와 확장 가능
- 고가용성, 재해복구, 백업 등이 서비스에 포함
2-5. 클라우드 단점
- 운영비용이 누적되면 오히려 비쌀 수 있음
- 데이터 보안/규제 문제 (데이터가 외부에 있음)
- 클라우드 사업자에 대한 의존성 존재
3. 데이터 센터 vs 클라우드 정리 비교
항복 | 데이터 센터 | 클라우드 |
---|
소유 | 기업 직접 소유/운영 | 외부 사업자가 운영 |
비용 | 초기 비용 높음, 유지비 고정 | 초기 비용 없음, 사용량 기반 과금 |
확장성 | 느림, 하드웨어 필요 | 빠름, 클릭 몇 번이면 가능 |
유지보수 | 내부 인력 필요 | 자동화 및 클라우드 업체 지원 |
재해복구 | 직접 구성 필요 | 기본 기능 포함됨 |
유연성 | 낮음 | 매우 높음 |
4. 현재 실무에서는?
- 하이브리드 인프라: 데이터 센터 + 클라우드를 같이 쓰는 경우
- EX. 민감한 데이터는 온프레미스에, 나머지는 클라우드에서 처리
- 멀티 클라우드: AWS, Azure, GCP를 함께 사용하는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