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적으로 1부터 9까지 서로 다른 수로 이루어진 3자리의 수를 맞추는 게임이다.같은 수가 같은 자리에 있으면 스트라이크, 다른 자리에 있으면 볼, 같은 수가 전혀 없으면 낫싱이란 힌트를 얻고, 그 힌트를 이용해서 먼저 상대방(컴퓨터)의 수를 맞추면 승리한다.예) 상대
로그인 같은 기능을 간단히 구현할 때 LocalStorage에 해당 Key값과 value값을 추가하거나 뺄 수 있다.
function을 time마다 실행한다.time의 단위는 ms이다.function을 time 이후에 실행한다.time의 단위는 ms이다.
Do it! HTML+CSS+자바스크립트 웹 표준의 정석 \[브라우저 관련 객체-screen객체\] screen 객체 사용자의 화면 크기나 정보를 알아낼 때 사용함 screen 객체 프로퍼티 availHeight: UI영역(윈도우 작업 표시줄이나 Mac의 독)
Do it! HTML+CSS+자바스크립트 웹 표준의 정석 [브라우저 관련 객체-location객체] location 객체 브라우저의 주소 표시줄과 관련됨. location 객체에는 현재 문서의 URL 주소 정보가 들어 있는데 이 정보를 편집하면 현재 브라우저 창에
Do it! HTML+CSS+자바스크립트 웹 표준의 정석 \[브라우저 관련 객체-history객체\] history 객체 history객체에는 브라우저에서 '뒤로'나 '앞으로' 또는 주소 표시줄에 입력해서 방문한 사이트 주소가 배열 형태로 저장된다. 브라우저 히스
웹 브라우저의 버전을 비롯해 플러그인 설치 정보나 온오프라인 등의 여러 정보가 담겨 있음. 이 정보는 사용자가 수정할 수 없으며, 가져와서 보여 줄 수만 있음.chrome 브라우저에서 Ctrl+Shift+J를 눌러 콘솔창을 열고 navigator를 입력한 후 Ent
window객체는 웹 브라우저의 상태를 제어하며 자바스크립트의 최상위에 있어 자바스크립트의 모든 객체는 window객체 안에 포함된다.window객체의 프로퍼티는 주로 웹 브라우저 창의 정보를 가져오거나 값을 바꿀 때 사용한다. 프로퍼티를 사용하려면 window.fu
웹 브라우저가 열리면 가장 먼저 window라는 객체가 만들어지고, 밑으로 하위 요소에 해당하는 객체들이 나타난다.하위 객체는 웹 문서와 주소 표시줄처럼 브라우저 요소에 해당하며 각각 다른 하위 객체를 지닌다.window : 브라우저 창이 열릴 때마다 하나씩 만들어짐.
E: 오일러 상수PI: 원주율 파이 (약 3.141592)SQRT2: 루트2 (약 1.414213)SQRT1_2: 1/루트2 (약 0.707106)LN2: loge(2) (약 0.693147)LN10: loge(10) (약 2.302585)LOG2E: log2(e) (
현재 날짜와 시간을 출력하거나 달력을 표시할 수도 있고, 특정일까지 얼마 남았는지 알려주는 등 여러 가지로 응용할 수 있다.YYYY-MM-DD 형식YYYY-MM-DDTHH 형식: 연도, 월, 일 다음에 시간을 표시하는 형식: 맨 끝에 Z를 붙이면 UTC(국제표준시)로
배열을 다루는 내장 객체.length 프로퍼티 사용 예시Array 객체 메서드concat: 기존 배열에 요소를 추가해 새로운 배열을 만듦.every: 배열의 모든 요소가 주어진 함수에 대해 참이면 true 반환, 그렇지 않으면 false 반환filter: 배열 요소 중
자바스크립트에서 객체는 프로그램에서 인식할 수 있는 모든 대상을 가리킨다는 것으로 이해하면 쉽다.문서객체모델(DOM): 웹 문서 자체도 객체이고 그 안에 삽입되어 있는 이미지, 링크, 텍스트 필드 등도 모두 객체이다. 일반적으로 웹 문서에 삽입하는 요소는 documen
기존 자바스크립트에서는 코드 상 어떠한 오류가 있어도 해당 오류를 최대한 유저에게 보여주지 않으려고 했다.위 코드처럼, number만 있는 배열에 문자열을 넣을 수 있는 것들이 그 예에 해당한다.그러나 타입스크립트에서는 타입을 명확히 정해주어 이러한 오류를 줄이는 것을
아래 명령어를 사용해 해당 디렉토리를 vscode로 열 수 있다.만약 해당 명령어가 실행되지 않는다면, vscode에 들어가 shift+cmd+p를 누른다.위 이미지처럼 검색창이 뜨면 Shell Command: Install 'code' command in PATH를
이름이 없는 함수 이름이 없는데 어떻게 실행해야할까? 변수에 할당한다. 한 번만 실행하는 함수라면 함수를 정의하면서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함수를 식 형태로 선언하므로 마지막에 세미콜론을 붙여주어야 한다. =>표기법을 사용해 함수 선언을 좀 더 간단하게 작성할 수
click: 사용자가 HMTL 요소를 클릭할 때 발생dblclick: 사용자가 HTML요소를 더블 클릭할 때 발생mousedown: 사용자가 요소 위에서 마우스 버튼을 눌렀을 때 이벤트 발생mousemove: 사용자가 요소 위에서 마우스 포인터를 움직일 때 이벤트 발생
기존 이벤트 처리기 지정 방법은 HTML이 주인이 되어 자바스크립트 함수를 불러왔다.DOM을 사용하면 자바스크립트가 주인이 되어 HTML의 요소를 가져와 이벤트 처리기를 연결한다.즉, HTML과 자바스크립트 중 어느 쪽을 중심으로 잡는가에 따라 지정하는 방법이 다르다.
Do it! HTML+CSS+자바스크립트 웹 표준의 정석 \[연산자\] 산술 연산자 수학 계산 시 사용하는 연산자. (+, -, \*, /, %, ++, --) 할당 연산자 연산식 오른쪽의 실행 결과를 왼쪽 변수에 할당하는 연산자. 대입 연산자라고도 함. (=
Do it! HTML+CSS+자바스크립트 웹 표준의 정석 \[예약어\] var 함수 레벨 재할당, 재선언 가능 함수 안에서 var 예약어를 빼고 선언하는 경우 전역 변수가 된다. 호이스팅: 자바스크립트 해석기는 함수 소스를 훑어보면서 var를 사용한 변수를 따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