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트에서는 이어서 IoC(Inversion of Control), DI(Dependency Injection) 의 개념을 살펴보고, 이러한 개념이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정리하겠습니다.
제어의 역전 IoC (Inversion of Control)
객체나 프로그램의 일부에 대한 제어를 컨테이너나 프레임워크로 이전하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원칙입니다.
사용자 정의 코드가 라이브러리를 호출하는 기존 프로그래밍과는 달리 IoC에서는 프레임워크가 프로그램 흐름을 제어하고 사용자 정의 코드를 호출할 수 있습니다.

- 기존에는 클라이언트 구현 객체가 스스로 필요한 서버 구현 객체를 생성하고, 연결하고, 실행했습니다. 한마디로 구현 객체가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을 스스로 조종했습니다.
- 반면 AppConfig가 등장한 이후에는 구현 객체는 자신의 로직을 실행하는 역할만 담당합니다.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은 이제 AppConfig 가 가져갑니다. (제어의 역전)
- 프로그램에 대한 제어 흐름에 대한 권한은 모두 AppConfig 가 가져감
- 심지어 OrderServiceImpl 도 AppConfig 가 생성
- AppConfig 는 OrderServiceImpl 이 아닌 OrderService 인터페이스의 다른 구현 객체를 생성하고 실행이 가능하다.
- 그런 사실도 모른체 OrderServiceImpl은 묵묵히 자신의 로직을 실행할 뿐이다.
- 이렇게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을 직접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관리하는 것을 제어의 역전이라고 합니다.
장점
- 작업 실행과 구현을 분리
- 어떤 구현체를 생성하고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책임과 구현체가 수행해야될 책임을 분리
- 즉 구현체는 자신이 수행할 책임에만 신경쓸 수 있다.
- 분리시켜줌으로써 다양한 구현체 간의 전환이 쉬워졌습니다.
- 또한 프로그램의 모듈성을 향상시킵니다.
프레임워크 vs 라이브러리
- 프레임워크가 내가 작성한 코드를 제어하고, 대신 실행하면 프레임워크
- 내가 작성한 코드가 직접 제어의 흐름을 담당한다면 라이브러리
의존관계 주입 DI (Dependency Injection)
객체를 다른 객체와 연결하거나 객체를 다른 객체에 주입하는 것을 객체 자체가 아닌 외부의 어셈블러에 의해 수행되는 것입니다.
- OrderServiceImpl 은 AccumulationPointPolicy 인터페이스에 의존한다. 실제 어떤 구현 객체가 사용될지는 모른다!
- 의존관계는 정적인 클래스 의존관계와 실행 시점에 결정되는 동적인 객체(인스턴스) 의존 관계 들을 분리해서 생각해야 한다.
정적인 클래스 의존관계
클래스가 사용하는 import 코드만 보고 의존관계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
- 인텔리제이 클래스 Diagram
- 이러한 의존관계로는 실제 실행시 어떤 객체가 연결되는지 알 수 없다.
동적인 클래스 의존관계
- 실행 시점에서 실제 생성된 객체 인스턴스의 참조가 연결된 의존 정책
- 애플리케이션 런타임에 외부에서 실제 구현 객체들을 생성하고 클라이언트에 전달해서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실제 의존관계가 연결 되는 것을 의존관계 주입 이라한다.
- 객체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그 참조값을 전달해서 연결된다.
- 의존관계 주입을 사용하면 클라이언트 코드를 변경하지 않고, 클라이언트가 호출하는 대상의 타입 인스턴스를 변경할 수 있다.
- 의존관계 주입을 사용하면 정적인 클래스 의존관계를 변경하지 않고, 동적인 객체 인스턴스 의존관계를 쉽게 변경할 수 있다.
IoC 컨테이너, DI 컨테이너
- AppConfig 처럼 객체를 생성하고 관리하면서 의존관계를 연결해주는 것을
- IoC 컨테이너 또는 DI 컨테이너 라고 합니다.
- 의존관계 주입에 초점을 맞추어 DI 컨테이너라 한다.
- 또는 어셈블러, 오브젝트 팩토리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ApplicationContext
IoC 컨테이너는 IoC를 구현하는 프레임워크의 일반적인 특성입니다.
Spring 프레임워크에서 ApplicationContext 인터페이스는 IoC 컨테이너를 나타냅니다.
Spring 컨테이너는 Bean(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되는 객체) 들의 인스턴스화, 구성 및 조립은 물론 수명 주기 관리를 담당합니다.
- ApplicationContext → 스프링 컨테이너
- 스프링 컨테이너를 통해서 DI
- @Configuration 이 붙은 AppConfig 를 설정(구성) 정보로 사용합니다.
- 여기서 @Bean 이 적힌 메서드를 모두 호출해서 반환된 객체를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합니다.
- 스프링 빈은 @Bean 이 붙은 메서드의 명을 스프링 빈의 이름으로 사용합니다.
- 스프링 빈은 applicationContext.getBean() 을 통해서 가져올 수 있습니다.
- 스프링 컨테이너에 객체를 스프링 빈으로 등록하고,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스프링 빈을 찾아서 사용하도록 변경되었습니다.
- Spring의 의존성 주입은 생성자, Setter, 필드를 통해 수행될 수 있습니다.
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