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DN에서는 클로저(Closures)를 이렇게 정의하고 있다.
클로저란 함수와 그 함수가 선언된 렉시컬 환경과의 조합이다.
내가 이해한 대로 문장을 바꿔 보자면,
클로저란 클로저가 선언된 렉시컬 환경(상위 스코프)과의 조합이다.
참 난해하다. 렉시컬 환경이란 무엇이고, 그럼 클로저란 대체 무엇일까?
- JS 엔진은 함수를 어디에 정의했는지에 따라 상위 스코프를 결정한다. 렉시컬 환경의 "외부 렉시컬 환경에 대한 참조" 에 저장할 참조값, 즉 상위 스코프에 대한 참조는 함수 정의가 평가되는 시점에 함수가 정의된 환경(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이것이 바로 렉시컬 스코프다.
var x = 1; const y = 2; function foo() { const x = 10; bar(); } function bar() { console.log(x); } foo(); // 1 bar(); // 1
- foo 와 bar 함수는 전역에서 정의된 전역 함수다. 함수의 상위 스코프는 함수를 어디서 정의했는지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foo와 bar 함수의 상위 스코프는 전역이다.
[[Environment]]
- 함수는 자신이 정의된 환경, 즉 상위 스코프를 기억해야 한다.
- 이를 위해 함수는 내부 슬롯
[[Environment]]
에 자신이 정의된 환경, 즉 상위 스코프의 참조를 저장한다.- 이때 자신의 내부 슬롯
[[Environment]]
에 저장된 현재 실행 중인 실행 컨텍스트의 렉시컬 환경이 바로 상위 스코프이다.- 자신이 존재하는 한 렉시컬 환경의 참조를 기억한다.
var x = 1; const y = 2; function foo() { const x = 10; bar(); } //함수 bar는 자신의 상위 스코프, 전역 렉시컬 환경을 [[Environment]]에 저장하여 기억한다. function bar() { console.log(x); } foo(); // 1 bar(); // 1
- 보통 내부 함수는 외부 함수가 죽을 때 죽는다.
- 외부 함수 보다 중첩 함수가 더 오래 유지되는 경우 중첩 함수는 이미 생명 주기가 종료한 외부 함수의 변수를 참조할 수 있다. 이러한 중첩 함수를 클로저라고 부른다.
const x = 1;
function outer() {
const x = 10;
const inner = function () { console.log(x); };
return inner;
}
//outer를 호출하면 중첩 함수 inner를 반환한다.
//그리고 outer함수의 실행 컨텍스트는 실행 컨텍스트 stack에서 pop되어 제거된다.
const innerFunc = outer();
innerFunc(); // 10
outer
함수를 호출하면 outer
함수는 중첩 함수 inner
를 반환하고 생명 주기를 마감한다. outer
함수의 지역 변수 x는 더는 유효하지 않는다는 것이다.innerFunc()
;에서 보면 outer
함수의 지역 변수 x가 다시 부활이라도 한 듯이 값을 10으로 출력하는 것을 볼 수 있다.inner
함수는 자신이 정의된 위치에 따라 결정된 상위 스코프를 저장한다.outer
함수는 평가될 때 전역 렉시컬 환경을 상위 스코프로서 저장한다. 그리고 중첩 함수 inner
는 함수 표현식으로 정의했기 때문에 런타임에 평가된다. inner
함수는 outer
함수의 렉시컬 환경을 상위 스코프로서 저장한다.outer
함수의 생명 주기는 종료되어 실행 컨텍스트 스택에서 제거되지만 outer
함수의 렉시컬 환경까지 소멸하는 것은 아니다.outer
함수의 렉시컬 환경은 inner
함수가 참조하고 있고 inner
함수는 전역 변수 innerFunc
가 참조하고 있어 가비지 컬렉션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 가비지 컬렉터는 누군가가 참조하고 있는 메모리 공간을 함부로 해제하지 않는다. 따라서 x 변수에 접근이 가능하여 10이 출력된다.📌 inner 함수를 우리는 클로저라 부른다.
❓ 그럼 상위 스코프를 기억하는 함수, 즉 모든 함수는 클로저일까?
✔️ 상위 스코프의 어떤 식별자도 참조하지 않는 함수는 클로저가 아니다.
function foo() {
const x = 1;
// bar 함수는 클로저일까?
function bar () {
const y = 2;
console.log(y); // 상위 스코프의 식별자를 참조하지 않는다.
}
return bar;
}
const bar = foo();
bar(); // 2
❓ 그럼 상위 스코프의 식별자를 참조하고 있는 함수는 모두 클로저일까?
✔️ 외부 함수보다 먼저 소멸되는 함수는 클로저라 할 수 없다.
function foo() {
const x = 1;
// bar 함수는 클로저였지만 곧바로 소멸한다.
function bar () {
console.log(x);
}
bar();
}
foo(); // 1
❓ 그럼 무엇을 클로저라 부르는 것일까?
✔️ 상위 스코프의 식별자를 참조하고, 외부 함수보다 더 오래 유지되는 경우의 중첩 함수를 클로저라 부른다.
📌 클로저에 의해 참조되는 상위 스코프의 변수를 자유 변수라고 부른다.
- 클로저는 상태를 안전하게 변경하고 유지하기 위해 사용한다. '
- 즉, 상태가 의도치 않게 변경되지 않도록 상태를 안전하게 은닉하고 특정 함수에게만 상태 변경을 허용하기 위해 사용한다.
// 카운트 상태 변수
let num = 0;
const increase = function () {
//카운트 상태를 1만큼 증가시킨다.
return ++num;
};
console.log(increase()); // 1
console.log(increase()); // 2
console.log(increase()); // 3
카운트 상태는 전역 변수를 통해 관리되고 있기 때문에 언제든지 누구나 접근할 수 있고 변경할 수 있다. 결국 변수 num의 값이 변경되면 이는 오류로 이어진다.
👍🏻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클로저를 사용해보자.
const increase = (function () {
let num = 0;
// 클로저
return {
increase() {
return ++num;
},
decrease() {
return num > 0 ? --num : 0;
}
};
}());
console.log(increase()); // 1
console.log(increase()); // 2
console.log(decrease()); // 1
console.log(decrease()); // 0
즉시 실행 함수가 호출되고 즉시 실행 함수가 반환한 함수가 increase 변수에 할당된다. increase 변수에 할당된 함수는 자신이 정의된 위치에 의해 결정된 상위 스코프인 즉시 실행 함수의 렉시컬 환경을 기억하는 클로저다.
즉시 실행 함수는 한 번만 실행되기 때문에 increase가 호출될 때마다 num 변수가 재차 초기화될일은 없다. 또한 num 변수는 외부에서 직접 접근할 수 없는 은닉된 private 변수이기 때문에 의도치 않은 변경을 걱정할 필요가 없다.
✔️ 위 예제를 생성자 함수로 표현한 코드
const Counter = (function () {
let num = 0;
function Counter() {
}
Counter.prototype.increase = function() {
return ++num;
};
Counter.prototype.decrease = function() {
return num > 0 ? --num : 0;
};
return Counter;
}());
const counter = new Counter();
즉시 실행 함수 내에서 선언된 num 변수는 인스턴스를 통해 접근할 수 없으며, 즉시 실행 함수 외부에서도 접근할 수 없는 은닉된 변수다.
increase, decrease
는 프로토타입을 통해 상속되는 프로토타입 메서드이지만, 자신의 함수 정의가 평가되어 함수 객체가 될 때 실행 중인 실행 컨텍스트인 즉시 실행 함수 실행 컨텍스트의 렉시컬 환경을 기억하는 클로저다.
따라서 즉시 실행 함수의 자유 변수 num을 참조할 수 있다. 즉, num 변수의 값은 increase,decrease
메서드만이 변경할 수 있다.
📌 함수형 프로그래밍에서 클로저를 활용하는 예제
function makeCounter(predicate) {
// 카운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자유 변수
let counter = 0;
// 클로저를 반환
return function () {
counter = predicate(counter);
return counter;
};
}
// 보조 함수
function increase(n) {
return ++n;
}
// 보조 함수
function decrease(n) {
return --n;
}
//함수로 함수를 생성한다.
const increaser = makeCounter(increase);
console.log(increaser()); // 1
console.log(increaser()); // 2
// increaser 함수와 별개의 렉시컬 환경을 갖기 때문에 카운터 상태가 연동하지 않는다.
const decreaser = makeCounter(decrease);
console.log(decreaser()); // -1
console.log(decreaser()); // -2
makeCounter
함수가 반환하는 함수는 makeCounter
함수의 스코프에 속한 couter 변수를 기억하는 클로저다.
makeCounter
함수를 호출해 함수를 반환할 때 반환된 함수는 자신만의 독립적인 렉시컬 환경을 갖는다. 함수를 호출하면 그때마다 새로운 makeCounter
함수 실행 컨텍스트의 렉시컬 환경이 생성되기 때문이다.
❌ 즉, 전역 변수 increaser
와 decreaser
는 별개의 렉시컬 환경을 갖기 때문에 카운터 상태가 연동되지 않는다.
👉🏻 만약 독립된 카운터가 아니라 증감이 가능한 카운터를 만들려면 렉시컬 환경을 공유하는 클로저를 만들어야 한다. 즉 makeCounter함수를 두 번 호출하지 말아야 한다.
const counter = (function () {
// 카운트 상태 변수
//즉시 실행 함수의 렉시컬 환경이 단 하나기 때문에, counter함수는 단 하나이다.
let counter = 0;
// 클로저를 반환
return function (predicate) {
counter = predicate(counter);
return counter;
};
}());
// 보조 함수
function increase(n) {
return ++n;
}
// 보조 함수
function decrease(n) {
return --n;
}
console.log(counter(increase)); // 1
console.log(counter(increase)); // 2
//자유 변수를 공유한다.
console.log(counter(decrease)); // 1
console.log(counter(decrease)); // 0
- 캡슐화(encapsulation)는 객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프로퍼티와 프로퍼티를 참조하고 조작할 수 있는 동작인 메서드를 하나로 묶는 것을 말한다.
- 캡슐화는 객체의 특정 프로퍼티나 메서드를 감출 목적으로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를 정보 은닉이라 한다.
- 정보은닉은 외부에 공개할 필요가 없는 구현의 일부를 외부에 공개되지 않도록 감추어 적절치 못한 접근으로부터 객체의 상태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해 정보를 보호하고, 객체 간의 상호 의존성, 즉 결합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 서로가 서로를 모르게 하라.
fuction Person(name, age) { this.name = name; // public let _age = age; // private } //프로토타입 메소드 Person.prototype.sayHi = function () { console.log(`${this.name} , ${_age}.`); }; const me = new Person('Ssong', 24); console.log(me.name); //Ssong console.log(me._age); //undefined -> Person 생성자 함수의 지역 변수 _age를 참조할 수 없다.
const Person = (function () {
let _age = 0; // private
function Person(name, age) {
this.name = name; // public
_age = age;
}
//프로토타입 메소드
Person.prototype.sayHi = function () {
console.log(`${this.name} , ${_age}.`);
};
return Person;
}());
sayHi
메서드는 이미 종료되어 소멸한 즉시 실행 함수의 지역 변수 _age
를 참조할 수 있는 클로저다._age
변수의 상태가 유지되지 않는다.const me = new Person('Ssong', 24);
me.sayHi(); //Hi! My name is Ssong. I am 24.
const you= new Person('Hana', 21);
you.sayHi(); //Hi! My name is Hana. I am 21.
me.sayHi(); //Hi! My name is Ssong. I am 21.
//_age 값이 변경된다.
sayHi
메소드가 즉시 실행 함수가 호출될 때 생성되어 즉시 실행 함수의 렉시컬 환경을 참조하고 있으므로, 어떤 인스턴스에서 호출하여도 하나의 동일한 상위 스코프를 사용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_age
변수의 상태가 유지되지 않는다. -> JS는 정보 은닉을 완전하게 지원하지 않는다.var funcs = [];
for (var i = 0; i<3; i++) {
funcs[i] = function () {return i; };
}
for (var j = 0; j<funcs.length; j++) {
console.log(funcs[j]());
}
기대 출력값 : 0, 1, 2
실제 출력값 : 3, 3, 3
❗ for문의 변수 선언문에서 선언한 var 키워드 i 변수는 함수 레벨 스코프를 갖기 때문에 전역변수 이므로 전역 변수 i를 참조하여 i의 값 3이 출력된다.
👍🏻 클로저를 활용하여 바르게 동작하는 코드
var funcs = [];
for (var i = 0; i< 3; i++) {
funcs[i] = (function (id) {
return function () {
return id;
};
}(i));
}
for (var j = 0; j < funcs.length; j++) {
console.log(funcs[j]()); //0, 1, 2
}
👍🏻 let을 사용하여 해결한 코드
const funcs = [];
for(let i = 0; i < 3; i++) {
func[i] = function () { return i; };
}
for(let i = 0; i < funcs.length; i++) {
console.log(funcs[i]()); // 0 1 2
}
👍🏻 함수형 프로그래밍 기법인 고차 함수를 사용하여 해결한 코드
// 배열의 요소로 추가된 함수들은 모두 클로저다
const funcs = Array.from(new Array(3), (_, i) => () => i);
funcs.forEach(f => console.log(f())); // 0 1 2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dive와, 추가 탐구한 내용을 정리한 포스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