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rew.sh/ brew 설치/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HEAD/install.sh)" 설치 명령어$ brew install
파일을 묶어서 압축 TAR(Tape Archive) + zip파일을 묶기만해서 보내도 되고, 묶은 뒤 압축을 해 보내도 됨tar -cf name.tar a b c 파일 묶기tar -zcf name.tar.gz a b c 집으로 압축하기tar -xvf name.tar t
프로그래머라면 개발자라면 리눅스를 반드시 배워야함 Unix 기반 IOS나 Linux가 있고 windows 에는 NT기반임소프트웨어를 사용하기 위해 운영체제를 사용함미래지향적으로 봤을 때 가치가 있는 것현재 사용률이 많은것사용하기 편한 것Debian -> Ubuntu를
NewRelic은 “어떻게 모니터링 할것인가” 에 대해서 많이 고민을 했다Resource 당 모니터링 기준 제안 → 수치화 된 모니터링 정책 수립가능공식 Terraform 제공고객사인 Groundx는 자사에서 사용하는 Golang을 사용할수 있는점, Community가
Aiops 란 (Artificial intelligence for IT Operations)는 IT 운영을 향상시키기 위한 인공지능(AI)애플리케이션임AIOps는 빅데이터,분석 및 머신 러닝 기능을 사용한다.빅데이터 분석, 머신러닝(ML)등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
공부 방식쿠버네티스 환경 구성배포를 통한 쿠버네티스 체험쿠버네티스 인사이드문제를 통해 배우는 쿠버네티스쿠버네티스 오브젝트쿠버네티스 Tips강의 특징1\. 코드를 몰라도 들을 수 있음2\. 쿠버네티스의 전반적인 흐름을 이해할 수 있음3\. 나만의 쿠버네티스 테스트 환경을
클라우드 서비스들은 다양한 기술로 구현되어 있음.가상화 기술, 컨테이너 기술, 분산 처리 기술, 데이터베이스 기술, 저장 기술 등..물리 서버는 모든 리소스를 사용하는 상황이 흔하지 않아 리소스가 남음, 서버 가상화를 통해 집약시킬 수 있어 서버 리소스를 최대한 활용할
클라우드 서비스로는 가상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같은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음이러한 서비스들은 대부분의 클라우드 사업자들이 제공함가장 기본적인 클라우드 서비스로 가상서버가 있음물리적 서버의 CPU와 메모리, 스토리지 같은 하드웨어 자원을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컴퓨팅(클라우드) 이란 컴퓨터를 사용한 정보 처리를 자신이 보유한 PC가 아닌, 인터넷 '너머'에 존재하는 클라우드 사업자의 컴퓨터에서 처리하는 서비스를 뜻함.클라우드는 '은행 예금'과 같은 것1980년대 메인 프레임 이라고 하는 대형 범용 컴퓨터의 시대였음.
함수에 함수넣기 가능다른 함수에 인자로 들어가는 함수를 callback(콜백) 함수라고 부른다.로직 안에서 같이 실행 시켜주기 위해 사용한다.전에 async await 가 없을 때 비동기 작업을 동기 작업으로 실행 시키고 싶을 때 콜백 함수를 통해 해결 했다.
this는 현재 실행되는 코드의 실행 컨텍스트를 가리킨다.this binding은 this에 실행 컨텍스트의 주체를 연결 짓는 것, 즉 this가 무엇을 가리킬지 연결하는 것this binding은 실행 컨텍스트가 활성화 될 때 한다.실행 컨텍스트는 이 컨텍스트를 지닌
V8은 Google Chrome과 Node.js에서 사용되고 있는 구글에서 제작한 자바스크립트 엔진이다.웹 브라우저 내부에서 자바스크립트의 속도 개선을 위해서 고안되었다.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웹 특성상 유저와 상호작용을 위해서 즉시성이 있는 인터프리터 방식을 사용하는데
Docker란 Go언어로 작성된 리눅스 컨테이너 기반으로하는 오픈소스 가상화 플랫폼이다.현재 Docker 0.9버전 부터는 직접 개발한 libcontainer 컨테이너를 사용하고 있다. 이제는 향상된 컴퓨터의 성능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가상화 기술이 많이
RXJS (Reactive eXtensions For JavaScript) 는 리액티브 프로그래밍을 Javascript 에서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진 라이브러리 입이다.리액티브 프로그래밍이란 이벤트나 배열 같은 데이터 스트림과 전파를 중심으로 하여 변화에 유연하게 반응하
큰서비스웹, 안드로이드, ios 따로 개발을 한다.웹: 앱이 있어도 반응형 웹을 만든다. (모바일, 태블릿)오프라인기능, 주소클릭하면 바탕화면에 아이콘 설치프로그레시브 웹앱을 사용하면, 핸드폰으로 쓰는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웹중심의 회사다!웹 버전, 태블릿 버전,
Callback Event Queue에서 하나씩 꺼내서 동작시키는 Loop를 말한다.자바스크립트는 싱글 스레드 기반 언어이기 때문에, 한번에 하나씩 작업을 진행한다.그러나 자바스크립트가 사용되는 환경을 생각해보면, 많은 작업이 동시에 처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예
Object Oriented Programming의 약자로써 class와 object에 기반한 프로그래밍 패러다임(디자인 패턴) 이다. 관련된 데이터끼리 묶어서 class를 형성하고 그 안에서 object instance를 만듬으로써 프로그램을 디자인한다.코드의 재사용
SQL을 사용하면 RDBMS에서 데이터를 저장, 수정, 삭제 및 검색 할 수 있다.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는 핵심적인 두 가지 특징이 있다.데이터는 정해진 데이터 스키마에 따라 테이블에 저장된다.데이터는 관계를 통해 여러 테이블에 분산된다.데이터는 테이블에 레코드로 저장되
제너릭 타입은 타입에 유연성을 제공하여 컴포넌트 등에서 재사용을 가능하게 해주는 타입이다.타입의 유연성이란 :string, :number 등과 같이 고정된 타입이 아닌 사용에 따라 여러 타입을 사용하게 해준다는 것이다.generic: 일반적인arg: string: 들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