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ing - 문자열
int - 정수
long - 정수, int보다 큰 범위 long
boolean - true, false
float - 실수, flout은 double만큰 정밀한 데이터를 못넣기 때문에 뒤에 f, F를 붙인다
double - 실수, 정밀한 소수 계산시 double 사용
char - 한글자, ''을 사용
기본 자료형
정수를 위한 자료형
byte 1byte(8bit)
short : 2byte(16bit)
-2의 15승 ~ 2의 15승 - 1
int : 4byte(32bit)
-2의 31승 ~ 2의 31승 - 1
long : 8btye(64bit)
-2의 63승 ~ 2의 63승 -1
실수를 위한 자료형
float 4byte
double 8byte
변수 이름 짓는 법
1. 저장할 값에 어울리는 이름
2. 밑줄(_), 문자, 숫자 사용 가능 (공백 사용 불가)
3. 밑줄 또는 문자로 시작 가능
4. 한 단어 또는 2개 이상의 연속
5. 소문자로 시작, 각 단어의 시작 글자는 대문자(첫 단어는 제외)
6. 예약어 사용 불가(int, flout, public 등)
문자열 변수 만들기
public class _03_Variables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String name;
// name = "솜솜이"
String name = "솜솜이";
}
}
절대 변하지 않는 상수는 대문자로
final String CODE = "KR";
자바는 실행하려면 main이 꼭 있어야한다
정수형 변수 만들기
int hour;
hour = 7;
long l = 1000000000000l;
// _로 3칸씩 구분 가능
l = 1_000_000_000_000L;
실수형 변수 만들기
double score = 90.5;
char 변수 만들기
// 한글자일 때 char 사용, 작은 따음표 사용
char grade = 'A';
실수형 변수 만들기
// flout은 double만큰 정밀한 데이터를 못넣기 때문에 뒤에 f, F를 붙인다
// 정밀한 소수 계산시 double 사용
double d = 3.16;
float f = 3.14f;
정수형에서 실수형으로
public class _07_TypeCasting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score = 93;
System.out.println(score);
System.out.println((float) score);
System.out.println((double) score);
}
}
실수에서 정수로
float f = 93.3f;
double d = 98.8;
System.out.println((int) f);
System.out.println((int) d);
정수 + 실수 연산
score = score + (int)d;
System.out.println(score);
// 실수변수에 정수를 더하면 저절로 실수로 변경되어서 실행
d = d + 93;
System.out.println(d);
int -> long -> float -> double 점점 큰 범위로 갈때 자동으로 형변환
double -> float -> long -> int 수동으로 형변환 후 계산해야한다
숫자를 문자열로
// 정수를 문자열로
String s1 = String.valueOf(93);
s1 = Integer.toString(93);
System.out.println(s1);
// 실수를 문자열로
String s2 = String.valueOf(98.8);
s2 = Double.toString(89.8);
System.out.println(s2);
문자열을 숫자로
// 정수로 변환
int i = Integer.parseInt("93");
System.out.println(i);
// 실수로 변환
double dd = Double.parseDouble("98.8");
System.out.println(dd);
국비학원에서 배운 것과 따로 공부한 것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참고
나도코딩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