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pm init react-app [폴더 이름]
npm run start
public 디렉토리와 src 디렉토리의 index.html , index.js 를 제외하고 삭제해도 무관하다
index.html은 웹브라우저에서 가장 먼저 실행되는 파일이다
index.js은 index.html이 열리고 나서 실행되는 파일, 리엗트 코드들 중에서 가장 먼저 실행되는 파일
자바스크립트 파일 안에 HTML 태그를 사용하는 문법, 자바스크립트와 HTML을 섞어서 쓸 수 있는 문법
지켜야하는 문법
프레그먼트(Fragment)
import { Fragment } from 'react';
import ReactDOM from 'react-dom/client';
const root = ReactDOM.createRoot(document.getElementById('root'));
root.render(
<Fragment>
<h1>안녕 리액트!</h1>
<p>리액트</p>
</Fragment>
);
이렇게 사용하면 감싸는 태그 없이 h1, p 태그가 나타난다
축약형 문법을 사용하면 프레그먼트를 불러오지 않아도 코드도 깔끔해진다.
import ReactDOM from 'react-dom/client';
const root = ReactDOM.createRoot(document.getElementById('root'));
root.render(
<>
<h1>안녕 리액트!</h1>
<p>리액트</p>
</>
);
자바스크립트 문법 사용
const product = 'MacBook';
function handleClick(e) {
alert('곧 도착합니다!');
}
const root = ReactDOM.createRoot(document.getElementById('root'));
root.render(
<>
<h1>{product} 주문하기</h1>
<button onClick={handleClick}>확인</button>
</>
);
JSX 문법으로 작성한 요소는 결과적으로 자바스크립트 객체가 되는데 이것을 리엑트 엘리먼트라고 부른다.
리엑트 엘리먼트를 리턴하는 함수를 만들면 함수 이름을 가진 태그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이 함수를 리엑트 컴포넌트라고 부른다.
import ReactDOM from 'react-dom/client';
function Hello() {
return <h1>안녕</h1>
}
const root = ReactDOM.createRoot(document.getElementById('root'));
root.render(
<>
<Hello />
<Hello />
</>
);
리엑트에서 컴포넌트에 지정한 속성을 props라고 부른다
props는 properites(프로퍼티스)의 줄임말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각각의 속성은 prop이라고 부른다
props
function App() {
return (
<div>
<Dice color="blue"/>
</div>
);
}
export default App;
color라는 속성에 blue라는 값을 지정했다 브라우저의 개발자도구를 보면 color라는 속성을 찾을 수 없다. html코드가 아니라 리엑트 컴포넌트에 지정해준 속성이기 때문이다. 리엑트 개발자도구 components 탭에서 값을 확인이 가능하다

<Button prop="던지기" /> 으로 사용하지 않고
<Button>던지기<Button> 식으로 사용하고 싶으면,
컴포넌트를 정의할 때, children을 사용하면 된다
// App.js
import Button from './Button';
function App() {
return (
<div>
<Button>던지기</Button>
<Button>처음부터</Button>
</div>
);
}
export default App;
// Button.js
function Button({ children }) {
return <button>{children}</button>;
}
export default Button;
Button.js에서 prop를 children이라고 하면 이와 같이 쓰지 않고 위의 코드처럼 작성해줘도 된다
참고
코드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