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ve-dev 옵션이 있을 때
node install nodemon --save-dev
package.json 파일의 내용을 보면

dependencies 부분에 nodemon이 없다.
--save-dev 옵션이 없을 때
npm install nodemon
dependencies 부분에 nodemon이 생긴다
우리는 개발용도와 배포용도로 프로젝트 코드를 실행한다.
개발 용도로 코드를 실행할 때 필요한 패키지와 배포 용도로 코드를 실행할 때 필요한 의존 패키지들이 달라질 수 있다
nodemon 패키지는 배포 용도로 쓴다기보다는 주로 개발 용도로 쓴다
왜 이런 구분이 필요할까?
Node.js 프로젝트를 다른 개발자와 공유할 때 node_modules 디렉토리는 용량이 너무 크기 때문에 굳이 공유할 필요가 없는데 package.json 파일만 공유해주고, 프로젝트를 공유받은 개발자가
npm install nodemon 을 실행해서 package.json 파일에 적혀있던 패키지들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는 dependencies 필드와 devDependencies에 있던 모든 패키지들이 설치되는데
npm install --production
--production이라는 옵션을 주고 실행하면 이때는 devDependencies에 있는 패키지들(개발 용도로만 필요하고 배포 용도로는 필요하지 않은 패키지들)은 제외하고 dependencies에 있는 패키지들만 node_modules 디렉토리에 설치하게 된다
NODE_ENV=production npm install
--production이라는 옵션을 주는 방법 말고도 이런 식으로 옵션을 주는 방법도 있다.
NODE_ENV=production은 NODE_ENV라는 환경 변수의 값을 production으로 주라는 뜻이다.
참고
코드잇
유익한 글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