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9

0

알고리즘

목록 보기
9/9

57. 최댓값과 최솟값

  • 문자열 s에는 공백으로 구분된 숫자들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str에 나타나는 숫자 중 최소값과 최대값을 찾아 이를 "(최소값) (최대값)"형태의 문자열을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예를들어 s가 "1 2 3 4"라면 "1 4"를 리턴하고, "-1 -2 -3 -4"라면 "-4 -1"을 리턴하면 됩니다.

    제한 조건
    s에는 둘 이상의 정수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def solution(s):
    arr = list(map(int, s.split(' ')))
    return str(min(arr)) + " " + str(max(arr))

58. JadenCase 문자열 만들기

  • JadenCase란 모든 단어의 첫 문자가 대문자이고, 그 외의 알파벳은 소문자인 문자열입니다. 단, 첫 문자가 알파벳이 아닐 때에는 이어지는 알파벳은 소문자로 쓰면 됩니다. (첫 번째 입출력 예 참고)
    문자열 s가 주어졌을 때, s를 JadenCase로 바꾼 문자열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주세요.
    <제한 조건>
    s는 길이 1 이상 200 이하인 문자열입니다.
    s는 알파벳과 숫자, 공백문자(" ")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숫자는 단어의 첫 문자로만 나옵니다.
    숫자로만 이루어진 단어는 없습니다.
    공백문자가 연속해서 나올 수 있습니다.
def solution(s):
    answer = []
    s = s.split(" ")
    for word in s:
        if word:
            answer.append(word[0].upper() + word[1:].lower())
        else:
            answer.append(word)
    return " ".join(answer)

59. 최솟값 만들기

  • 길이가 같은 배열 A, B 두개가 있습니다. 각 배열은 자연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배열 A, B에서 각각 한 개의 숫자를 뽑아 두 수를 곱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배열의 길이만큼 반복하며, 두 수를 곱한 값을 누적하여 더합니다. 이때 최종적으로 누적된 값이 최소가 되도록 만드는 것이 목표입니다. (단, 각 배열에서 k번째 숫자를 뽑았다면 다음에 k번째 숫자는 다시 뽑을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A = [1, 4, 2] , B = [5, 4, 4] 라면
    A에서 첫번째 숫자인 1, B에서 첫번째 숫자인 5를 뽑아 곱하여 더합니다. (누적된 값 : 0 + 5(1x5) = 5)
    A에서 두번째 숫자인 4, B에서 세번째 숫자인 4를 뽑아 곱하여 더합니다. (누적된 값 : 5 + 16(4x4) = 21)
    A에서 세번째 숫자인 2, B에서 두번째 숫자인 4를 뽑아 곱하여 더합니다. (누적된 값 : 21 + 8(2x4) = 29)
    즉, 이 경우가 최소가 되므로 29를 return 합니다.
    배열 A, B가 주어질 때 최종적으로 누적된 최솟값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배열 A, B의 크기 : 1,000 이하의 자연수
    배열 A, B의 원소의 크기 : 1,000 이하의 자연수
def solution(A,B):
    answer = 0
    A.sort(reverse = True)
    B.sort()
    
    for i in range (len(A)):
        answer += (A[i]*B[i])
        
    return answer

다른 사람의 풀이

def getMinSum(A, B):
    return sum([a * b for a, b in zip(sorted(A), sorted(B, reverse=True))])

60. 다음 큰 숫자

  • 자연수 n이 주어졌을 때, n의 다음 큰 숫자는 다음과 같이 정의 합니다.

조건 1. n의 다음 큰 숫자는 n보다 큰 자연수 입니다.
조건 2. n의 다음 큰 숫자와 n은 2진수로 변환했을 때 1의 갯수가 같습니다.
조건 3. n의 다음 큰 숫자는 조건 1, 2를 만족하는 수 중 가장 작은 수 입니다.
예를 들어서 78(1001110)의 다음 큰 숫자는 83(1010011)입니다.

자연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n의 다음 큰 숫자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 사항
n은 1,000,000 이하의 자연수 입니다.

블로그에서 도움을 받아 코드 작성

def number1 (x):
    binary = bin(x)
    one = binary.count('1')
    return one

def solution(n):
    answer = n
    num = number1(n)
    while True:
        answer += 1
        if int(number1(answer)) == num:
            return answer

다른 사람의 풀이

def nextBigNumber(n, count = 0):
    return n if bin(n).count("1") is count else nextBigNumber(n+1, bin(n).count("1") if count is 0 else count)
profile
git commit -m "개발기록"

0개의 댓글